Page 112 - 동북포루 수리보고서-2020.최종
P. 112

동북포루 복원정비공사 보고서

























               〔사진2-61〕 덕량과 상부 판대공                           〔사진2-62〕 덕량의 대들보 결구부






























                도면2-16   덕량 (단위 mm)


               덕량은  종종  우미량으로 불리  우기도  한다.  설계도면에는 이  덕량부재가 전부  우미량으로 표기  되어있
               다. 그러나 우미량과는 그 기능이나 성격이 다르다. 우미량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초기 주심포 맞배지

               붕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부재로서, 그 기능은 도리와 도리 사이를 연결시켜, 도리의 이동방지와 측면 횡
               력에 의한  변형을 보강하는 부재이다. 가구구성은, 특성상 내부공간의 확보를 위해 여러 부재들이 수평
               으로 중첩되어 높이차를 두고 있으며, 높이차로 인한 상하부재들의 연결과 결속력을 보강하기 위해, 그
               기능을 담당할 부재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해결해주는 부재가 바로 우미량이다. 이 우미량은 상당히 휘
               어짐이 크다.  하단의 도리와 상부의 도리까지 높이차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그  높이  차이만큼 큰  부

               재를  사용하여  휘어진  모양으로  치목하였다.  도리와  도리마다  연결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한  건물에
               우미량의 수는 도리를 연결하는 수량만큼 볼 수 있다. 우미량을 사용한 건물은 그 격이 매우 높았다. 대
               표적인 사례가 고려 말 수덕사 대웅전 이 있으며 매우 고식이라 할 수 있다. 우미량의 모습은 조선중기
               를  지나면서,  그  모습을  보기가  어려운데,  우미량을  대신하는  동자주나,  대공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알





               -  112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