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7 - 동북포루 수리보고서-2020.최종
P. 107
Ⅱ. 연혁 및 건축 현황
숭어턱은 좌 259mm, 우264mm로 이 치수의 중심부까지만 더하면 전면부 주칸이 된다. 때문에 양쪽 숭
어턱 각 중심부까지의 길이를 더하면 총 260mm로 여기에 몸통길이 3,465mm를 더하면 3,725mm로 약
12.016자로 계산되어 나온다. 의궤기록과 동일한 12자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면2-13 대들보 (단위 mm)
의궤 기록은 실제 부재치수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당시 주칸을 설정하는 방법이 바로 초석의
중심선이자 기둥의 중심에서 중심, 즉 주칸의 치수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도리의 치수를 12자
라고 기록했다면 실제 원목은 15자를 들여야 한다. 보통 3, 5, 7, 9, 12, 15..로 원목을 잘라서 재목을 공
급하는 방식이었고 현재도 이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때 12자가 필요하면 부재의 주칸 양옆으로 결구되
는 장부가 있거나 뺄목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더 큰 치수가 필요하다. 때문에 12자보다 약
간 필요해도 15자의 부재를 들여와서 현장에서 필요 없는 부재를 잘라내고 사용하게 된다. 현재 대들보
의 주칸이 12자로 정확하게 사용되었지만 보 머리까지 총길이가 14,6자인 이유가 바로 이러한 이유 때
문이다.
현황 설계도면을 살펴보면 대들보의 치수가 270 x 390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너비와 높이를 표시
한 것이다. 실제 실측한 결과 290 x 385이다. 270mm은 충량과 덕량의 너비 치수를 대들보에 잘못 표기
한 것으로 보인다. 높이 390mm은 복원당시의 치수로 보이는데 385mm로 줄어든 것은 시간이 흘러 건조
후 치수에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충분히 건조시킨 목재라 하더라도 오랜 시간이 흐르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기도 하여 대기 중 습도와 평형 함수율이 되기도 하고(기건재) 뱉어 내기도 하면서
기건재가 더욱 건조되어 함수율이 0이 되기도 한다.(전건재) 이렇듯 오랜 시간이 흐르면 목재수축과 같
은 변화가 일어난다. 때문에 보통 정치수(설계상 치수)보다 현장에서는 가공치수(치목치수)를 크게 하여
맞춤부에서 빡빡하게 결구되도록 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이 흐르면 헐거워지고 심하면
결구가 빠지기도 한다. 그 이유는 목재가 다량의 수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길이방향보다는 횡방향
11)
으로, 심재보다는 변재부분의 함수량이 많아 수축이 심하다. 때문에 수평으로 눕혀 쓰는 부재(보와 도
- 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