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동북포루 수리보고서-2020.최종
P. 106

동북포루 복원정비공사 보고서




                2-7. 보


               보는  보통  건물의 앞뒤  기둥을 연결하는 수평구조 부재를 말하는데,  층마다 있는  도리를 받기  위한  부
               재가  바로  보이다.  보통  보는  도리를  받게  되는데  보머리에서  도리는  직각으로  만나게  된다.  서까래와

               도리를 타고 내려온 지붕의 하중은 보를 통해 기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는 건물규모에
               따라서는 보가  한  가지만 쓰여서는 충분하지 않아  한  건물에서 여러  종류의 보가  쓰이기도 한다.  보는
               구조,  형태,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들보,  종보,  중종보,  툇보,  충량,  덕량,  귓보,  귀잡이보,
               맞보,  우미량 등으로  그  모양과  형태  및  결구방식을 달리한다.  동북포루에서 보(梁)는  대들보,  충량,  덕
               량, 종보을 사용하였다.



                 ■ 대들보
               동북포루의 가구는  5량집으로  대들보와  종보을  두었다.  민도리집이기  때문에  좌우  중심  평기둥의  머리
               에는  사개를  두고  대들보를  끼우고  도리를  올렸다.  보  상부에는  2개의  방형  홈을  내었는데  이  자리에
               동자대공을 놓고 종보를 올렸다.























               〔사진2-51〕 대들보위에 짜인 충량과 덕량                      〔사진2-52〕 해체 시 대들보


               대들보의  몸의  좌우측면에는 장부  홈이  있는데 이  부분에는  충량과  덕량이 끼워진다.  대들보의  길이는
               전면  단칸에 올린  처마도리와 중앙부의 대들보는 당연히 그  길이가 같다.  다만  해체  조사  시  처마도리
               는 뺄목부분을 이어서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실제 동북포루에서 가장 긴 부재를 사용한 것은
               대들보라 할 수 있다. 의궤 기록을 살펴보면 평량 12척, 도리 한 개 길이 12척이라 되어있는데 이 평량

               이 대들보를 뜻한다.
               대들보를 실측해보니 총길이는 4,529mm, 몸통부분의 길이는 3,465mm이다. 용척은 화성행궁에 사용된 1
               자를 현재의 미터법 310mm에 적용하여 보면 총길이는 약 14,6자가 나오며, 몸통은 11,17자가 나온다. 여
               기에서 12자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기둥에 짜이는 부분의 치수가 빠졌기 때문이다.  보통  주칸  설정  시
               기둥의 중심에서 중심까지를 1칸이라 하기 때문에 기둥머리의 중심치수를 더해야 한다. 기둥 폭은 평균

               250  x  264mm였는데,  대들보의  숭어턱  부분  길이가  바로  기둥머리에  짜인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실측하였다.





               -  106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