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오산문화 59호
P. 67
2015 VOL. 59 osan culture
노력해서 미국 명문고에 들어갔을 것이다. 주변 감 또한 그녀를 그렇게 만드는데 한 몫 했을 것이
사람들에게 자랑스러운 존재였던 만큼 부담감도 다. 이렇듯 우리는 늘 아이들에게 성공을 부르짖
만만치 않았으리라. 그런 부담과 성공에 대한 과 지만 성공한 후의 삶이 행복한 삶이되기 위해 어
도한 집착, 그리고 실패를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 떻게 해야 하는 지 가르치지 않는다. 오히려 그
음이 그녀를 합격통지서 위조라는 말도 안 되는 런 것에 관심조차 두지 않은 채 좋은 학교, 좋은
사건을 저지르게 했다. 어쩌면 그녀는 명문대 입 직업을 가지기만하면 무조건 행복해 질 것이라고
학이라는 꿈에 쫓겨 학교에 들어가서 혹은 그 꿈 강요한다. 실제 직업을 가진 후 살아가야 할 시간
을 이룬 후 어떤 사람이 되어 어떻게 살고 싶다 이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 시간보다 많을 수
는 「꿈 너머 꿈」을 생각한 적이 없을 것이다. 아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처럼.
마 눈앞의 부담과 스트레스가 그녀의 생각을 가 서두에 소개한 이야기의 세 학생처럼 우리는 아
로막았을 것이다. 그런 그녀를 ‘리플리 증후군’이 이들에게 과학자가 되라, 교수가 되라, 돈을 많이
라고 보는 정신과 전문가들도 많다. 리플리 증후 벌어라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은지. 그 앞
군(Ripley Syndrome)이란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 에 붙어야할 수식어 「어떤」을 빼놓고, 「어떻게」라
면서 마음속으로 꿈꾸는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 는 방향을 놓친 채, 중간 기착지인 직업이나 대학
믿고 거짓된 말과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반사회 에 목매고 있는 것은 아닌지. 행복은 물질로만 채
적 인격 장애를 뜻하는 용어로, 성취욕구가 강한 워질 수 없고, 좋은 직업도 좋은 학벌도 부도 행
능력이 부족한 개인이 마음속으로 강렬하게 원하 복의 충분조건이 될 수는 있지만 필수조건은 아
는 것을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사회구조적 문제 니다.
에 직면했을 때 많이 발생하며, 주로 자신의 욕구 메슬로우(Maslow)는 인간이 자신과 맞는 일을
를 충족시킬 수 없어 열등감과 피해의식에 시달 할 때 기쁨을 느끼고 남들보다 잘 할 수 있다고
리다가 상습적이고 반복적인 거짓말을 일삼으면 했다, 그러나 그런 자신의 기쁨과 부모의 기쁨이
서 이를 진실로 믿고 행동하게 되는 경우를 일컫 충돌할 때 대부분의 아이들은 안전 대한 욕구와
는다.(두산백과 인용) 소속감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모의
기쁨을 선택하게 된다. 그런 선택이 반복되면 결
부모나 학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국 자아실현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권태, 삶의 의
노력만으로 성취되지 못한 입학에 대한 갈망이 욕 상실 등에 빠져 불행해지기 쉽다고 했다.
그녀에게 거짓의 세계를 만들고 그 속에 자신을 그래서 아이들이 꿈이 없다고 얘기하거나 단순
숨게 했을 것이다. 모 매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히 성공에만 집착하게 될 때 부모들은 자신을 돌
그녀의 목소리는 단순히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아봐야 한다. 자신이 바라는 것 즉 자신의 기쁨을
보기에는 자신감과 자기 확신이 있어 보였다. 아 위해 자녀들의 기쁨을 중요하지 않다고 치부해
마 그 점이 그녀를 리플리 증후군으로 보이게 한 버리지는 않았는지. 그리고 현실에 집착해서 아
것 같다. 현실과 기대와의 간극. 그리고 그것이 이들의 행복과 삶의 의미가 되는 「꿈 너머 꿈」을
채워지지 못하면 자신은 버림받을 것이라는 불안 간과하고 있지는 않은지 말이다.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