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오산문화 59호
P. 67

2015  VOL. 59  osan culture



                노력해서 미국 명문고에 들어갔을 것이다. 주변                    감 또한 그녀를 그렇게 만드는데 한 몫 했을 것이
                사람들에게 자랑스러운 존재였던 만큼 부담감도                     다. 이렇듯 우리는 늘 아이들에게 성공을 부르짖
                만만치 않았으리라. 그런 부담과 성공에 대한 과                   지만 성공한 후의 삶이 행복한 삶이되기 위해 어
                도한 집착, 그리고 실패를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                  떻게 해야 하는 지 가르치지 않는다. 오히려 그

                음이 그녀를 합격통지서 위조라는 말도 안 되는                    런 것에 관심조차 두지 않은 채 좋은 학교, 좋은
                사건을 저지르게 했다. 어쩌면 그녀는 명문대 입                   직업을 가지기만하면 무조건 행복해 질 것이라고
                학이라는 꿈에 쫓겨 학교에 들어가서 혹은 그 꿈                   강요한다. 실제 직업을 가진 후 살아가야 할 시간
                을 이룬 후 어떤 사람이 되어 어떻게 살고 싶다                   이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 시간보다 많을 수

                는 「꿈 너머 꿈」을 생각한 적이 없을 것이다. 아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처럼.
                마 눈앞의 부담과 스트레스가 그녀의 생각을 가                    서두에 소개한 이야기의 세 학생처럼 우리는 아
                로막았을 것이다. 그런 그녀를 ‘리플리 증후군’이                  이들에게 과학자가 되라, 교수가 되라, 돈을 많이
                라고 보는 정신과 전문가들도 많다. 리플리 증후                   벌어라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은지. 그 앞

                군(Ripley Syndrome)이란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             에 붙어야할 수식어 「어떤」을 빼놓고, 「어떻게」라
                면서 마음속으로 꿈꾸는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                    는 방향을 놓친 채, 중간 기착지인 직업이나 대학
                믿고 거짓된 말과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반사회                    에 목매고 있는 것은 아닌지. 행복은 물질로만 채
                적 인격 장애를 뜻하는 용어로,  성취욕구가 강한                  워질 수 없고, 좋은 직업도 좋은 학벌도 부도 행

                능력이 부족한 개인이 마음속으로 강렬하게 원하                    복의 충분조건이 될 수는 있지만 필수조건은 아
                는 것을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사회구조적 문제                   니다.
                에 직면했을 때 많이 발생하며, 주로 자신의 욕구                  메슬로우(Maslow)는 인간이 자신과 맞는 일을
                를 충족시킬 수 없어 열등감과 피해의식에 시달                    할 때 기쁨을 느끼고 남들보다 잘 할 수 있다고

                리다가 상습적이고 반복적인 거짓말을 일삼으면                     했다, 그러나 그런 자신의 기쁨과 부모의 기쁨이
                서 이를 진실로 믿고 행동하게 되는 경우를 일컫                   충돌할 때 대부분의 아이들은 안전 대한 욕구와
                는다.(두산백과 인용)                                 소속감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모의
                                                             기쁨을 선택하게 된다. 그런 선택이 반복되면 결

                부모나 학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국 자아실현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권태, 삶의 의
                노력만으로 성취되지 못한 입학에 대한 갈망이                     욕 상실 등에 빠져 불행해지기 쉽다고 했다.
                그녀에게 거짓의 세계를 만들고 그 속에 자신을                    그래서 아이들이 꿈이 없다고 얘기하거나 단순
                숨게 했을 것이다. 모 매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히 성공에만 집착하게 될 때 부모들은 자신을 돌

                그녀의 목소리는 단순히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아봐야 한다. 자신이 바라는 것 즉 자신의 기쁨을
                보기에는 자신감과 자기 확신이 있어 보였다. 아                   위해 자녀들의 기쁨을 중요하지 않다고 치부해
                마 그 점이 그녀를 리플리 증후군으로 보이게 한                   버리지는 않았는지. 그리고 현실에 집착해서 아
                것 같다. 현실과 기대와의 간극. 그리고 그것이                   이들의 행복과 삶의 의미가 되는 「꿈 너머 꿈」을

                채워지지 못하면 자신은 버림받을 것이라는 불안                    간과하고 있지는 않은지 말이다.

                                                                                                  65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