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7 - 제5권
P. 427
표 7. 연도별 혼인상태 변화추이
(단위 : 명, %)
425
혼인상태별
5년별 계
유배우 사별 이혼 미혼 산업
2000 4,025 909(22.6) 1,573(39.1) 558(13.9) 985(24.5) · 경제
2005 7,960 1,536(19.3) 2,045(25.7) 1,215(15.3) 3,164(39.7)
2010 70,481 42,535(60.3) 6,065(8.6) 3,443(4.9) 18,438(26.2) / 보건
2015 80,575 47,660(59.1) 6,802(8.4) 4,701(5.8) 21,412(26.6) · 환경위생
연령에 따른 혼인상태 변화를 살펴보면 10대~20대는 미혼자의 비율이 높고, 30대에서 60대까지 · 사회복지
는 유배우자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70대 이상은 사별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만, 40대,
50대, 60대에서 이혼의 비율이 10% 내외인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사법
표 8. 연령별 혼인상태 현황(2015) · 치안
(단위 : 명)
혼인상태별 · 소방
연령별 계
유배우 사별 이혼 미혼 · 언론
15∼19세 6,366 19 3 - 6,344
20∼29세 12,156 2,259 42 91 9,764
30∼39세 19,795 15,484 57 582 3,672
40∼44세 18,028 14,969 325 1,595 1,139
50∼59세 11,987 9,117 812 1,646 412
60∼69세 6,175 3,913 1,658 536 68
70세 이상 6,068 1,899 3,905 251 13
계 80,575 47,660 6,802 4,701 21,412
외국인 여성의 국적별 혼인 현황을 살펴보면 통계청에서 2017년 실시한 인구동향조사에 의하면
2017년 기준으로 90명으로, 2013년부터 전체 인원에는 큰 변화가 없으며, 나라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43명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베트남 24명, 필리핀과 태국이 5명 등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는 다문화지원센터와 외국인지원센터 등에서 진행하는 한국어교실의 증가 및 참여율 증가
와 결혼 후 타국적으로 인해 오는 불편감 등으로 인해 장기간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경우 귀화준비를
하여 국적을 바꾸게 되는 경우도 많아서 실생활에서 느끼는 것보다 통계 수치가 적은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