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9 - 오산문화총서 3집
P. 119

에 대한 연구는 문헌에 기록된 건물의 위치나 형태 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조차 이루어지지 않
                       았으며, 성의 구조 및 독산성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확보 할 수 있는 학술조사는 이제 1차가 진

                       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복원사업을 보면 종합정비계획이나 기초자료에 대한 수집 및 연구 없
                       이 특정 건물에 대한 복원기본계획이 수립되는 등 첫 발을 내딛고 있는 아이에게 뛰는 것을 강

                                                  33)
                       요하는 것과 같이 위태로운 모습 으로 단 6년 만에 1.1km에 달하는 성곽 전체와 성문 네 곳을
                       복원하여 잘못된 복원이라는 지적을 끊임없이 받고 있는 1980년대 복원사업이 반복될 가능성
                       이 높다고 생각된다.

                         문화재 복원사업은 현재 남아있지 않은 과거의 건물을 새롭게 건설하는 것이지만 설계도를
                       갖고 시작하여 단시간 내에 완공 할 수 있는 건설사업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며, 복원이 완료 된

                       후에는 잘못 복원되더라도 다시 고칠 수가 없는 비가역성이라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
                       에 장시간 끊임없이 연구하고 검토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으로 복원을 위한 과정에 얼
                       마나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끊임없이 투자하는지에 따라서 좋은 결과가 자연스럽게 나타날 것

                       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교육에 대해서 백년대계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 문화재 복원도 같다고
                       생각된다. 문화재는 현재 우리에게는 살아있는 역사교육의 장이고 후손에게는 물려주어야 할

                       유산으로 당장 눈앞의 이익이 아닌 먼 미래를 바라보고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따라서 독산성
                       복원사업도 백년대계를 염두 하면서 학술조사 및 연구, 자료수집, 논의 등이 긴 호흡을 갖고 꾸
                       준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진다면 과거의 과오를 되풀이 하지 않고 완성도 높은 복원사업이 될 것

                       이라고 생각한다.




















                       33)  독산성에 대한 조사 및 연구, 복원에 한해서는 위태롭고 성급하다고 보이고 복원사업 중 수목정비와 탐방로 정비 등에 있어
                          서는 기존에 관리되지 못하고 있던 부분에 대한 관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앞서 말한 것과는 달리 적절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보인다.


                                                                         독산성 진남루 위치에 대한 재검토  117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