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오산문화총서 3집
P. 25

소성유구는 기원전 1886년~1756년의 값이 나왔다. 두 유구 모두 신석기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연대치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구덩이에서 나온 빗살무늬 평저토기에는 점렬상의 타래문이 시문되었고, 구분문계 토기
                       들이 함께 나왔는데, 이와 유사한 토기는 서울 암사동유적에서도 확인되었다. 암사동과 가장동
                       구덩이 출토 토기는 문양 구성과 배치, 시문기법, 기형 등이 유사하며, 기원전 4,000~3,600년

                       (임상택 2006) 또는 4500~4,000년(소상영 2013)으로 편년되는 유물이다.


                         ○ 오산 가장동유적 신석기시대 유구 절대연대측정결과 (서경문화재연구원 2013)

                           4-2지점 1호 소성유구 3500±50BP 1886-1756BC (1σ, 68.2%)
                           5-1지점 1호 집터         4110±40BP 2855-2581BC

                                               4080±40BP 2839-2500BC
                                               4110±40BP 2855-2581BC
                                               4110±40BP 2855-2581BC



                                                                          이와 같이 오산의 신석기문화는 가

                                                                        장동유적의 집터와 구덩이 등과 그곳
                                                                        에서 나온 빗살무늬토기를 통해서 매
                                                                        우 단편적인 내용을 알 수 있는 상황

                                                                        이다. 이 가운데 점렬상의 타래문이
                                                                        시문된 평저 빗살무늬토기는 서울 암
                                                                        사동 신석기유적의 이른 시기와 유물

                                                                        과 관련되는 것으로 중서부지역 신석
                                                                        기시대 전기에 속하는 것이다. 자료
                                                                        는 적지만 오산 가장동유적은 암사동

                                                                        유적과 더불어 중서부지역 최초의 신
                                                                        석기인들이 남긴 물질자료로서 그 가

                                                                        치는 매우 높다.


                              <그림 8> 오산 가장동유적(서경문화재연구원 2013)
                                     5-1지점  신석기시대 주거지





                                                                            고고학으로 본 선사시대의 오산  23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