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오산시 역사문화 이야기
P. 39

대표적  인물인  것이다.





























                                                경기도당굿,  사진출처  문화재청


                    당시,  경기도  수원군  성호면  부산리의  가난한  마을에  사는  무당  이종하  집에는
                  『경기도  창제도청안』1책,  『경기도  재인청  선생안』  1책,  『경기도  창재청』  2책
                  이  있어서,  1784년부터  1920년까지  130여  년에  걸쳐  재인청이라는  무당의  제도가
                  존속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적인  세습무  가계  출신인  이용우는  이종하의  아들이고,  일제강점기  현지조사
                  때  일본인  연구자에게  오산12제차  무가를  제공한  이종만의  조카다.  이용우는  서모
                  인  박금초에게  판소리를  사사했고,  부친의  권유로  통도사에서  혼자  소리를  익히기
                  도  하였다는  얘기는  앞에서  언급했다.  그  후  그는  한때  유랑극단을  따라다니며  판
                  소리로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으나,  29세  때  목이  부러져  끝내  판소리를  포기하고
                  무업을  다시  계승했다고  한다.

                    이용우와  같이  경기도당굿을  담당하고  전통적인  세습무가계  화랭이  굿판에서  종합
                  적인  연희를  수행하였다.  그  계원은  “세습무당  당골에  한하며,  전적으로  무악을  연
                  주하는  화랑,  줄타기,  물구나무서기의  등의  곡예를  하면서도  무악을  연주하는  재인
                  가무  예능인이며  무악을  연주하는  광대를  포함한다.”  는  기록으로  미루어  화랑이는

                  집단으로  구성되며,  갖가지  예능을  구사했음을  알  수  있다.


















                                                           39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