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8 - 오산시 역사문화 이야기
P. 108

이  전설이  전해오는  금암동은  크고  좋은  바위가  많은  곳이어서  금암동이라  불리는

                  곳으로  우리들에게는  고인돌로서  잘  알려진  곳이기도  하다.  전설에  나오는  바위는
                  여계산  중턱으로  여계산은  해발  159m의  높지  않은  산으로서  금암동,  지곶동,  세교
                  동의  오산  내  3개  동  중앙에  걸쳐  있는  산이다.  또  여계산은  조선  선조  때  이괄  장
                  군이  무술을  연마하던  장군터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가장동에서  서랑동으로  넘어
                  가는  배무니  고개에서  시작된  가서천의  두  번째  물줄기는  예전에  세조대왕이  마셨

                  다는  찬우물(어정御井)터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세조는  몸에  종기가  나  온양으로
                  온천욕을  하러  배나무길을  지나다가  이곳에  멈춰  목을  축이는데  물이  차고  맛이  좋
                  아  '찬우물'이라  명명했다고  한다.  또한  샘물  관리를  위해  근처의  농토에서는  세금
                  을  받지  말라는  명을  내렸다고도  전해진다.  그곳에는  샘물은  없고  논  가장자리에
                  소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가장동산업단지에  수용돼  없어졌
                  다.  애기바위에서  서쪽을  바라보면  서랑저수지가  내려  보인다.



                  ★  선바위  전설



                      노적봉이라고  하며,  노적산  정상  근처에  있는  바위로  바위가  아름답게  생겼고  모
                  양이  세워놓은  것  같아  붙여진  이름이며,  현재는  마등산으로  통일되어  있다.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마등산  :  2004년  9월에  오산시문화공보담당관실에서

                  구성한  지명위원회에서  말등산,  노적산,  학교산,  배꼽산,  달맞이산,  선바위산  등  여
                  러  이름으로  불리던  산을  ‘마등산’이라는  하나의  산  이름으로  통일  결정함.)


                      옛날에  이  마을에  소금장수가  살았는데  지금의  원  2동인  밀머리에서  배가  들어왔

                  다고  한다.  소금장수는  인천에서  소금을  사서  배로  밀머리까지  싣고  와서  팔았다고
                  한다.  당시에  마땅한  이름이  없던  소금장수는  오산의  선바위라고  자신을  말하곤  했
                  다.  그런데  인천의  구두쇠  상인이  어찌나  짜게  구는지  한번  혼을  내주기로  마음을
                  먹고  소금  세  배를  싣고  오면서  대금은  다음에  주기로  약속하고는  오산으로  와서
                  소금  대금을  보내지  않았다.
                      인천의  구두쇠  상인은  외상값을  가져올  것을  기다리다가  지쳐  화가  나서  오산까

                  지  찾아오게  되었다.  길을  물어  오산까지  찾아온  인천의  상인은  마을  사람들에게
                  오산의  선바위를  물으니  마을  사람들은  어째서  찾느냐고  되물으니,  인천  상인이  소
                  금  세  배  값을  받으러  왔다는  말에  웃음을  참지  못하며  저  산의  정상에  있는  바위
                  가  선바위라고  하였다.  인천의  구두쇠  상인은  어처구니가  없어  멍하니  선바위만  쳐

                  다보다가  돌아갔다고  한다.  이때부터  근동에서  이곳  선바위는  소금  세  배를  삼킨
                  바위로  이름이  났다고  전한다.










                                                           108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