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오산문화총서 2집
P. 37

Ⅰ. 머리말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는 사적 제140호(1964년 8월 29일 지정)로 지정되어 있다. 성곽의
                        길이는 1,095m이고 성문은 동서남문과 암문 1개를 포함하여 총 5개가 있으며, 치는 8개가 있

                                   1)
                                            2)
                        다. 해동지도 와 화성지 의 기록에 의하면 남문과 서문에 문루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3)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성내부에도 운주당을 비롯하여 다양한 관청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
                                                            5)
                                        4)
                        는 정상부에 세마대 와 동문 안쪽에 보적사 만 남아있다.
                         독산성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보면 임진왜란과 그 이후에 경기남부를 방어하는 요
                        충지로서 한 축을 담당하였으며, 정조 때는 현륭원을 외호하는 역할 하는 등 조선후기 중요한

                        성곽이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독산성은 지리적인 위치를 볼 때, 삼국시대부터 관방시설 존재
                                      6)
                        했을 것으로 판단 되고 조선시대 다양한 개보수로 인한 당시 성곽 축조 및 보수 기술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단서를 갖고 있다.
                                                                     7)
                         하지만 독산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 미흡은 독산성에 대한 자
                        료가 문헌기록만 있으며, 현재의 성곽도 현대의 보수로 인해 원형을 파악하는데 장애물이 되

                        고 있다. 또한 문헌기록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고고학적 조사도 1982년 서문과 암문 간이발굴                         8)





                        1) 『海東地圖』
                        2) 『華城誌』
                        3) 주2)의 책
                        4)  현재 남아있는 세마대는 1957년 세마대중건위원회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현판에는 ‘洗馬坮’라고 이승만 대통령
                         의 휘호가 있다.
                        5)  보적사의 창건연대는 삼국시대 독산성의 승전을 위해 건립되었다는 설과 고려시대에 건립되었다는  설이 있으
                         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다. 다만, 독산성 전투 당시 승군이 함께 싸웠다는 기록과 화성지에 기록된 독산
                         성 건물지 현황에 보적사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임진왜란을 이후에는 보적사가 독산성 내에 있었던 있었
                         던 것으로 판단된다.
                        6)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조 기록된 독산책을 독산성으로 비정하는 연구가 있으나, 이는 낙랑의 위치 등을 볼
                         때, 다른 지역일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독산성의 현재 지리적인 입지를 볼 때 삼국시대에 관
                         방시설이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7)  정해득, 2009,『正祖時代 顯隆園 造成과 水原 移邑 硏究』, 경기대학교 대학원.
                           심승구, 2012,「임진왜란 중 독산성 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한국학논총』37, 국민대학교한국학연구소.
                           김준혁, 2015,「독산성의 역사와 군사문화적 의의」,『오산 독산성 학술대회』, 오산시청.
                        8)  1982년 보수 시 서문과 암문에 대해 간이 발굴조사가 진행되었으나 보고서 등이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조사내용
                         과 결과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변천  35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