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Interview Book(KOR)-2025-01
P. 139

장재언:
               구체적으로는 선거 데이터를 전산 시스템으로 수집한 뒤,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비율을 조작합니다. 이를 통해 본투표와 사전투표 간의 비정상적인 비율 차이가 발생하며,
               이는 대수의 법칙에 어긋나는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서는
               사전투표와 본투표 결과가 정반대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Grant Newsham:
                                       이런 조작을 밝혀내기 위해서는 어떤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장재언:
               가장 중요한 것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서버를 압수수색하고 포렌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서버에 삽입된 알고리즘과 조작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경찰과 검찰에 이와 같은 요청을 하고 있으며, 현재 관련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Grant Newsham:
                           만약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선거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장재언:
               만약 서버 조사를 통해 조작의 증거가 발견된다면, 2024년 총선은 무효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현재의 국회의원 300명은 모두 자리에서 물러나야 하며, 새로운 선거가
               치러져야 합니다. 이는 한국 민주주의의 정의를 회복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Grant Newsham:
                      조작이 그렇게 명백하다면 왜 더 정교하게 하지 않았을까요? 너무 드러나 보이는 것

                                                                                                같습니다.
               장재언: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그들은 결과를 확실히 보장하기 위해 무리수를 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더불어민주당은 2020년에 180석을 확보했는데, 이번에는 192석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는 명백히 외부 세력, 특히 중국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 조작입니다.

                                                                                          Grant Newsham:
                            AI를 사용하여 이러한 부정을 발견하셨다고 했는데, AI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장재언:
               AI는 선거 데이터의 비정상적인 패턴을 식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AI 분석에 따르면 사전투표와 본투표 간의 득표율 차이가 5%를 넘을 경우 이는
               통계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며, 반드시 조사해야 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이러한 AI 분석은

               우리가 선거 조작을 입증하는 데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Grant Newsham:
                     지금까지의 조사와 연구가 한미 관계 또는 국제 사회에 어떤 교훈을 줄 수 있을까요?







                                                          -119-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