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8 - Interview Book(KOR)-2025-01
P. 138
Grant Newsham:
박사님께서 한국 선거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발견하신 점이 미국에서도 중요한 교훈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도 사전투표와 우편투표가 부정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장재언:
그렇습니다. 한국의 선거 부정 사례는 세계적으로 경고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차원에서 신뢰할 수 있는 선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Grant Newsham:
장 박사님, 조혜주와 고한석 두 인물이 하버드 케네디 스쿨 졸업 후 어떤 경로를 통해 중국
및 국내 정세와 관련된 인물들과 연결되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특히 이들이
빅데이터와 미디어 조작을 활용했다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가요?
장재언:
조혜주와 고한석은 하버드 케네디 스쿨 졸업 후, 빅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한 전략을 배우고
이를 기반으로 미디어 통제 및 여론 형성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졸업 후 이들은 중국
베이징으로 이동해 양정철과 깊은 관계를 맺게 되었고, 양정철은 CSIS와 같은 미국의
저명한 싱크탱크에도 초청되었습니다. 이는 푸른산그룹과 같은 대기업들의 지원도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연계가 한국 정치와 선거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Grant Newsham:
이런 프로그램이 한국에서 처음 테스트되었다고 하셨는데, 어떤 방식으로 조작이
이루어진다고 보십니까?
장재언:
이 프로그램은 전산 시스템에 특정 알고리즘을 삽입해 사전투표와 본투표 간의 비율을
왜곡합니다. 중국의 IT 전문가들이 이러한 알고리즘을 설계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에서 이를 테스트한 후 다른 나라로 확대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입니다.
Grant Newsham:
한국의 선거 시스템이 전산 조작에 취약하다고 보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장재언:
한국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서버는 보안이 매우 취약합니다. 서버가 투표소와 직접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한 데이터 조작이 비교적 간단합니다. 심지어 고등학생 수준의
기술로도 해킹이 가능할 정도로 방어체계가 약합니다. 이러한 점은 중국의
MSS(국가안전부)나 CCP와 같은 조직이 쉽게 개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Grant Newsham:
프로그램에 삽입된 알고리즘이나 조작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