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 Interview Book(KOR)-2025-01
P. 97
6. “한국 선거 부정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 방안: 2024년 총선을 중심으로”
l 인터뷰 일자: 2024년 7월 17일, 수요일
l 인터뷰 참여자: 도태우 변호사 / 윤용진 변호사 / 익명
요약:
2024년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 선거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와 부정 사례가 논의되었다.
사전투표 시스템의 취약점, 이상한 투표지 발견, 법원의 부실 대응, 전산 시스템의 보안
문제, 그리고 외국 세력의 개입 가능성이 주요 이슈로 제기되었다. 선거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 개혁과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1. 2024년 총선의 주요 문제
l 부정 선거의 국소적 발생: 2020년 대규모 부정과 달리 2024년에는 특정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부정이 발생.
l 사전투표와 당일투표 간 결과 괴리, 이상한 투표지 발견 등이 주요 증거로 제시됨.
2. 사전투표 시스템의 취약점
l 사전투표소와 중앙선관위 서버의 실시간 연결로 전산 조작 가능성.
l 투표자 수 불일치 사례: 경남 양산 사전투표소에서 실제 투표자는 약
3,000명이었으나, 발표된 수치는 4,000명 이상.
l QR코드로 인한 비밀선거 원칙 훼손.
3. 이상한 투표지 사례
l ‘배춧잎 투표지’: 녹색 변질된 투표지.
l ‘일장기 투표지’: 비정상적인 도장이 찍힌 투표지.
l 연수을 지역구 재검표 과정에서 깨끗한 신권 같은 투표지 발견.
4. 법원의 부실 대응과 정부의 태도
l 법원의 증거 보존 거부: 2024년에는 투표지 보존이 거부되며, 부정 선거 조사
어려움 증가.
l 선관위원장과 판사 간의 이해 충돌로 공정성 의심.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