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전시가이드 2025년 07월 - 이북용
P. 81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원정인, 키시앤바질전 | 5. 29 – 7. 10                                            황선화 초대전 | 6. 16 – 7. 3
            신한갤러리 | T.02-2151-7684             김정범 초대전ㅣ7. 2 – 7. 18                NJ갤러리 | T.02-3281-2376
                                                장은선갤러리ㅣT.02-730-3533

                                     작가의 작품을 바라보면 마치 세상을 주유하는 순례자처럼 작은 놀람과 기
                                     쁨들이 살며시 스쳐 지나간다. 작은 길모퉁이에서 만나는 우리가 인식한
                                     형상들, 뒤를 돌면 만나는 반가운 형태들이 그의 작품 곳곳에 숨어있다.



            자취를 감춘 줄로만 알았던 존재들이 현                                                  꽃과 나비와 결합의 환생을 통해 초월의
            실에 영향력을 행사할 때가 있다. 오랜                                                  遊로 진입하여 悠悠自適하며 새롭게 태
            시간이  흘러  잊힌  사건이나  이야기들.                                               어나고자 하는 희망으로 나비들의 세상
            고요했다가도 불현듯 그 존재감에 불을                                                   에서 행복한 꿈속으로의 자유로운 여행
            켜 현재의 시공간을 밝힌다                                                         을 펼쳐보고자 하는 작업세계이다.
            이승화 초대전 | 6. 20 – 7. 10                                                故이주헌, 권용자 부부전 | 6. 13 – 7. 25
            아르떼미갤러리  | T.0507-1420-1360                                            여미갤러리 | T.010-5267-7344






                                               김영화 초대전ㅣ7. 5 – 7. 30
                                              사랑아트갤러리ㅣT.02-3495-1000
            이승화 작가의 작품은 깊은 사유와 미감                                                  故이주헌, 권용자작가의 부부전으로 이
            을 담아낸다. 노란색의 배경 위에 자리한   면 분할과 칼라 사용에서 대담함과 섬세함이 공존하고 그의 그림은 계산된       주헌의 중첩과 투영을 주제로 자연을 품
            그릇 형태는 전통 도자기의 실루엣을 연    우연으로 중첩되면서 일필휘지로 힘과 에너지를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에       은 작품과 권용자의 Time Brushing은
            상시키면서 텍스처와 색채의 흐름을 통     너지는 관객에게도 이입되고 있다.                            판화의 색다른 기법을 넘어서 작가감성
            해 은유적 이미지를 구축한다.                                                       과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최소리 초대전ㅣ7. 4 – 7. 16                                                   장승근, 호상근전 | 6. 11 – 7. 19
            아트필드갤러리ㅣT.010-5218-7859                                                오에이오에이갤러리 | T.02-6207-3211









            움푹 들어가고, 긁히고, 뚫린 모습 자체                                                 서로 다른 감각을 지닌 두 작가가 회화적
            를 소리의 흔적으로 이해하여 북이 아닌                                                  언어로 풀어낸 작업들로 호상근은 도시
            알류미늄판, 동판, 종이, 캔버스 등을 두                                                의 장면을 관찰자의 시선으로 색연필화
            드리고, 채색하고, 빛을 입히며 작품 제                                                 에 담아내며, 장승근은 익숙한 사물을 유
            작에 매진하고 있다.                                                            화의 질감으로 표현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보이지 않는 너머전 | 5. 27 – 7. 13  Vivid Rest전 | 6. 5 – 8. 24  김영주 개인전ㅣ6. 10 – 8. 17  이서윤 개인전 | 6. 27 – 7. 10
            알부스갤러리 | T.02-792-8050  에비뉴엘아트홀 | T.02-3213-2607  에비뉴엘아트홀ㅣT.02-3213-2607  온아트갤러리 | T.042-525-4900









            색연필로  제작된  64점의  작은  'Face  데일 루이스는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  평면적 캔버스의 틀을 깨고, 새로운 조형  자연과 문명,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주제
            Wall'  작품과,  모노타입  기법으로  제작  며 도시의 일상과 군상을 대형 캔버스에  방식으로 실험을 지속해왔다. 고정된 이  로 다양한 색의 꽃들이 만개한 그림은 동
            된 대형 'Face Monotypes' 는 얼굴이라  유머러스하게  담아낸다.  지하철,  거리,  미지 대신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조를 구  화 속 한 장면을 연상시킨다.  환상적인
            는 대상을 통해 감정, 기억, 정체성의 다  시장 같은 평범한 공간을 무대로 인간 군  현하는 작가의 작품은 추상과, 구상, 회  분위기를 자아내며, 풍성한 식물과 꽃들
            양한 주제를 다루며 대화를 이끌어낸다.   상의 풍경을 연극처럼 풀어낸다.      화와 조각 사이를 넘나든다.         은 자연의 생명력을 강조한다.



                                                                                                       79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