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전시가이드 2025년 07월 - 이북용
P. 79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피에르 위그전 | 2. 27 – 7. 6                                                 오석순 개인전ㅣ7. 14 – 7. 19
            리움미술관 | T.02-2014-6900       조명환_It's 몽유도원 사진전ㅣ7.1 - 8. 31             백강갤러리ㅣT.041-933-0714
                                                KM galleryㅣT. 02-3465-1007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이 꿈에 본 풍경을 안견에게 그리게 한 산수화로 산
                                     사진을 찍는 조명환은 몽유도원이 꿈속의 산이 아닌 한국의 산에 실제로
                                     존재하는 풍경임을 증명하듯이 사진 작품으로 내 보인다.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 의존성을 탐구하                                                   여행지에서 만난 풍경을 화선지 위에 먹
            며,  예측  불가능성을  가시화한다.  이를                                              색과 먹 향에 대한 애정으로 시작된 작업
            통해 새로운 생태적 환경을 제안하고, 시                                                 은, 멀게 느껴질 수 있는 전통 회화의 세
            간과 공간의 변화를 통해 인식을 확장하                                                  계를 실제로 보고 느낀 자연 풍경과 감성
            고 또 다른 현실을 상상하게 된다.                                                    으로 풀어내는 시도였다.

            빠레뜨인전 | 7. 2 – 7. 7                                                    이영희 개인전 | 6. 27 – 7. 31
            마루아트센터 | T.02-2223-2533                                                보자르갤러리 | T.02-543-5662






                                               이미경 개인전ㅣ7. 1 – 7. 5
                                                 갤러리산ㅣT.031-321-5538
            이번 전시는 빠레뜨인이 오랜 시간 다듬                                                  기다림은 희망이다. 막연한 것 같지만 미
            어온 예술적 정서의 집약체라 할 수 있    대학 졸업 후 35년, 작가는 창작 여정을 돌아본다. 오롯이 작업할 날을 꿈꿨   래에 대한 기다림은 희망이었다. 나의 그
            다. 작품 속에는 작가가 거쳐온 수많은    지만 그런 날은 오지 않았고, 작품은 수익을 내지 못했다. 그럼에도 작업을     림 속에 표현되고 있는 외로워 보이거나
            인연과 시간을 녹여낸 따스한 기억들이     멈추지 않았던 이유는  작업 자체에서 행복을 느꼈기 때문이다.            슬퍼 보이는 촌부나 보행자들도 모두 희
            한 겹 한 겹 겹쳐 있다.                                                         망을 지닌 인물들이다.
            김원근 개인전 | 6. 1 – 8. 31                                                 성주미술협회 기획전 | 7. 1 – 7. 6
            모산조형미술관 | T.041-933-8100                                               봉산문화회관전시실 | T.053-661-3500









            작가의 작품을 보면 다른 조각가와 다르                                                  성주미술협회는 2011년 창립하여 성주
            게 회화적인 표현이 눈에 띈다. 조각이                                                  와 대구를 중심으로 미술인으로서의 자
            있어 그림이 살고, 그림이 있어 조각 또                                                 주적인  예술활동을  보장하여  지역미술
            한 살아난다. 작가는 패션이 자신을 표현                                                 인들의 문화 의식의 균형 있는 발전, 소
            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이다.                                                       통과 문화 향유를 도모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박종관 초대전ㅣ7. 3 – 7. 25    우리들의 낙원전 | 6. 13 – 7. 27  서울에서 살으렵니다전 | 4. 11 – 7. 11  정연경 초대전 | 6. 7 – 7. 2
            무늬와 공간ㅣT.02-588-2281    문화역서울284 | T.02-3407-3502  뮤지엄한미 | T.02-733-1315  사랑아트갤러리 | T.02-3495-1458









            예술지리학이란 지구의 경이, 환경의 숨   행복과 이상향(낙원)을 주제로 VR, 사진,  원로, 중견, 신진 사진작가 12명의 시선  그의 회화는 단순한 미술 작업이 아니라
            결, 그리고 생명의 존재를 공간추상으로  설치, 영상, 몰입형 미디어아트, 인공지  으로 살펴본다. 대한민국 수도 서울이 광  신앙의 고백이며, 은혜의 응답이다. 다층
            재해석하고  있는  시각예술이다.  공기,  능, 조각, 회화 등 다양한 장르 50여 작품  복 이후 파란의 역사를 겪었던 1950년대  적인 면과 선이 쌓이고 교차하며 완성된
            물, 땅, 인간 등 지구 형성의 요소들을 회  을 통해 작가들의 행복과 이상향에 대한  부터 현재까지 80년의 변천사를 사진 작  화면은 그 자체로 하나의 ‘영적 고백서’
            화 메커니즘으로 분석하였다.         다양한 시선을 볼 수 있다.        품들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소개한다.     이자, 시각적 묵상 공간이다



                                                                                                       77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