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6 - 전시가이드 2025년 07월 - 이북용
P. 76
우리 셋이 그렸어전 | 7. 9 – 7. 15 오늘, 분청전 | 4. 10 – 8. 17
갤러리이즈 | T.02-736-6669 우혜원 부스전 | 7. 16 – 7. 30 경기도미술관 | T.031-481-7000
멀버리 힐스 | T.010-8719-9278
두툼한 질감의 붓질로 표현한 일상의 소소한 풍경을 입체적으로 담아냈다.
화면 가득 퍼진 초록 잎과 붉은 사과들은 계절의 변화와 자연의 생명력을
상징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풍요로운 시골의 정취와 따뜻한 가족의 이야
기를 떠올리게 한다.
세 명의 작가가 각기 다른 시각과 감성으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역사적 전환기에
로 ‘그림 그리기’라는 행위를 매개로 만 200년 남짓 존재했지만 지금까지도 동
나 서로의 작품 세계를 교차하며 보여준 시대 한국도자예술에 지대한 예술적 영
다. 작가들은 각자의 독창적인 표현 방식 감과 창작의 원천을 제공하는 도자 양식
으로 화면을 채운다. 인 ‘분청’의 현재를 살펴보고자 한다.
최진원 개인전 | 7. 23 – 7. 29 기후위기 특별전 | 7. 24 – 10. 26
갤러리이즈 | T.02-736-6669 경기도미술관 | T.031-481-7000
이연주 초대전 | 6. 9 – 7. 11
‘나만의 공간’에서 시작되는 상상의 풍경 청풍갤러리 | T.033-642-1451 기후 위기, 지구 온난화 대변동의 시대에
으로 풀어낸 최진원 회화전으로 동화적 대한 공감대 형성과 더불어 지역의 생태
현대 도시인의 일상과 소통의 풍경을 포착해 눈길을 끌고 있다. 넓은 창과
상상력과 따스한 정서가 어우러진 최진 환경과 연결 가능한 관객 친화적인 작품
높은 천장, 그리고 따스한 채광이 인상적인 다양한 인물들이 각자의 방식
원 작가의 회화 전시가 관람객들을 새로 을 소개하고, 재생 에너지에 대한 메시지
으로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담고 있다.
운 상상의 세계로 초대한다. 를 전하고자 한다.
시나브로전 | 5. 8 – 7. 8 이강욱 개인전 | 3. 8 – 7. 31
갤러리조선 | T.02-723-7133 경주플레이스씨 | T.054-775-5500
요한한과 아슈라프 툴룹이 지난 10여 년 ‘흰색’을 중심으로 빛과 형태의 조화를
간 이어온 관계와 협업의 시간을 바탕으 실험한다. Invisible Space-Image 시리
로 구성된다. 이들은 장기간에 걸쳐 축적 즈는 미세한 입자들이 모여 거대한 구조
된 시간이 만들어낸 공명과 흔적을 하나 를 이루는 개념을 탐구하며, 우주의 질서
의 시각적 구조 안에서 풀어낸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를 가장 작은 단위에서 시각화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보리윤 초대전ㅣ7. 15 – 7. 31 심진섭 초대전ㅣ7. 15 – 7. 31 강주리 개인전 | 5. 30 – 7. 12 돌에 새긴 영원전ㅣ6. 17 – 8. 31
갤러리PalㅣT.010-2217-3210 갤러리PalㅣT.010-2217-3210 갤러리퍼플 | T.031-521-7425 국립대구박물관ㅣT.053-760-8567
꼴라쥬 이미지는 특정 대상에 대한 이미 스스로의 모습을 표현된 일상은 생활에 작가의 호기심에서 비롯된 이미지들을 기증 특별전 <萬世不朽만세불후-돌에
지가 아니라 마치 어떤 풍경의 일부처럼 서 느낀 불만과 심리적 갈등을 감정으로 수집하고 배열한 뒤, 다시 엮어내는 과정 새긴 영원>은 지난 2024년 중국 섬서한
보이고 있으며, 일종의 이미지적 서사를 인한 의기소침 보다는 ‘나’ 자신의 열등 을 통해 내면의 세계를 가시화한다. 드로 당석각박물관으로부터 기증받은 남북조
읽어낼 수 있을 정도의 내용이 담긴 구성 감을 상쇄하고 이기기 위한 느낌으로 과 잉을 통해 축적한 사고의 편린과 상상의 시대부터 당나라에 이르는 석각 자료 탁
적 화면이다. 장되고 유머러스하게 표현한다. 파편들을 모아 분더카머로 재구성된다. 본 58건 75점을 소개한다.
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