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전시가이드 2025년 06월 이북용
P. 59
-mail : cr
ar
t1004@hanmail.ne
접수마감-매월15일 E-mail :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접수마감-매월15일
E
7
4
7 (이문자 편집장)
t 문의 0
10-6313-
2
Hello Bo-bong-보봉이의 정원2, 88×88㎝, mixed media, 2024
적 행복 추구는 애초에 동심의 발로와 동심에 의해 상상의 공간 속에서 무한 성에 의해 동심을 다시 회복하고 확장하며 동심으로부터 현대인의 행복을 다
히 창작되어 왔다는 사실이다. 즉, 어릴 적에 무수히 돋아나는 신선하고 창의 시 일깨우고, 상상 속의 공존만으로도 작가의 의도는 충분히 모든 이에게 공
적인 자유로운 상상력과 호기심이 충분히 발현되고, 상상의 공간에서 공존 감은 물론 재미마저 제공하는 것이다. 캐릭터의 특성을 체계화하고 인식하는
과 생명 유지 그리고 공감적으로 행복의 절대적인 가치를 추구하려는 태도 과정을 통해 상징적 이미지에 개성이나 성격을 삽입하여 친근한 요소로 작가
는 오히려 극단적으로 확장해 본다면 예술의 보편 가치와 절대적으로 공명 의 철학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보봉이의 성격은 활달하면서 꿈 많은 소녀로 교감 능력이 뛰어난 박애주의
그작가가 보봉이라는 캐릭터로 이야기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자이자 평등주의자이며, 가치관은 오로지 만물과의 교감을 통하여 상상만이
아니라 실재에서도 만물과 공존하며 사랑을 나누는 세상으로 행복 지수가 높
상상과 사실을 넘나들며 정착하는 동심을 통하여 작가가 내면 깊숙이 오히려 은 세상을 꿈꾸고 있다.
생명 탄생의 기쁨과 동심의 성장이 행복으로 공감되고 있는 것이며, 현대인
이 보봉이와 함께 인격화, 사회화하는 과정에서 동심의 시각화는 참으로 희 이러한 보봉이의 탄생은 이정민 작가에게 캐릭터를 통하여 현대 예술 속에 나
망의 근원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있다. 타나는 캐릭터를 통찰하고 그 기능과 특성을 회화적으로 조형하며, 작품 속에
농축하여 관객과 함께 공감하며 그 성장 과정을 계속 그려내고자 의도의 시
이미 작가의 작품 속 이미지에서 보봉이의 동심은 관객들에게 인지될 때까 작이다. 앞으로 보봉이의 성장 환경에 따라 그 성격과 개성이 그려내는 이야
지의 과정은 매우 다양하고 상징적 상상으로 구현되어 있어 작품을 보는 이 기를 이정민 작가의 시각에서만 아니라 관객으로도 동참하며 함께 지켜보는
의 지적 호기심마저 효과적으로 지속시킨다. 작품 속에서 다양한 캐릭터들과 것은 참으로 즐거운 기회가 될 것이다. 결국 영원한 사랑과 행복을 공감할 수
의 공존과 평등, 그리고 행복이 배양되는 환경 등, 자못 그동안 현대인이 잊 있도록 무한한 상상과 창작의 열정으로 새로운 세계를 구현하는 이정민 작가
었던 가장 중요한 가치를 내면의 동심 속에 있음을 이번 작품들 속에서 주장 의 상상적 환경 속에서 자라나는 보봉이의 성격과 역할, 그리고 그 성장을 통
하고 구체화하고 있다. 하여 작가가 제시하고자 하는 세상을 앞으로도 함께 지켜보며 자신의 동심을
투영해 보는 일은 진정 우리에게도 행복과 공감을 주며 상당한 매력으로 무
즉, 보봉이를 성장시키는 상상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가는 다양한 성격과 개 한히 다가오길 기대한다.
57
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