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전시가이드2025년 09월 이북용
P. 67
접수마감-매월15일 E -mail : cr ar t1004@hanmail.ne t 문의 0 10-6313- 2 7 4 7 (이문자 편집장)
접수마감-매월15일 E-mail :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송진영_Rearrangement-2025(Bridge) 60.6x60.6cm 신현지_기다림의 끝에서 72.7x60.6cm 이수아_주렁주렁 2 72.7x60.6cm 수묵채색
Acrylic on canvas 2025 한지에 채색 2025
이정자_Song of joy 53x72.7cm 이한_야간 라이딩 53x72.7cm 혼합재료 2024 장현숙_Harmony, 41x60cm
Watercolor on Arches 2025 Mixed media on canvas 2025
박정실_꽃밭에서 50x65.1cm Oil on canvas 장란순_선물 60x60cm 장지, 석채, 분채 2025 김원자_마리아의 기도 6x6x30cm(3개)
양초, 물감 2025
박정실작가는 평범한 꽃밭 속 순간을 포착해 진솔한 감성으로 담아낸다. 작은 신현지 작가는 오랜 기다림 끝에 피어나는 생명의 순간을 담았다. 꽃은 피어
소재가 예술적 풍경으로 승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나는 순간까지의 모든 여정을 담은 기록이자 위로의 메시지이다.
한편 송진영 작가는 사다리와 원의 변주를 통해 하늘과 땅, 너와 나를 이어 이한 작가는 가족과 함께한 들녘의 밤 라이딩을 황홀한 빛의 기억으로 되살
주는 상징을 탐구한다. 그의 작업은 축복과 소통, 희망의 노래로 이어진다. 린다. 일상의 추억이 회화적 서정으로 확장된다.
박선희 작가는 고향 들판의 농촌 풍경을 수묵담채로 담아내며, 모내기 전 논 장현숙작가는 서로 다른 색과 형태가 어울려 하나의 조화를 이루는 순간을 삶
에서 시작되는 희망과 공동체적 미래를 표현한다. 의 본질로 해석한다. 다양성과 공존에 대한 사유가 돋보인다.
65
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