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 - 전시가이드2025년 09월 이북용
P. 95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색색깔깔 뮤지엄 | 9. 3 – 12. 14                                               안말환 Kiaf Seoul전 | 9. 3 – 9. 7
            상상톡톡미술관 | T.02-2289-5412       김혜린 개인전 | 2025. 9. 10 – 9. 16           코엑스A홀 A62 | T.010-5222-7800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 T.02-736-6347

                                     작품 속 모든 요소는 저마다의 자리에서 조화를 이루며 호흡한다. 열린 궁
                                     궐의 문은 관람자를 작품 안으로 초대하고, 단단한 기초석과 십장생의 상
                                     징물들은 그 공간을 지탱한다.



            "상상력과 창의성의 발현”을 주제로, 시                                                 나의 나무들은 세상에서 가장 크고 깨끗
            그니처인 선(Line), 동그라미(Dot), 낙서                                            한 당신의 호흡이 되고자 한다. 지친일상
            (Scribble), 얼룩(Stain) 등 독특한 시각                                         에 숨을 잠시 고르고 작품과 보는 이의
            적 언어로 구성된 회화, 오브제, 영상작                                                 상호 교감을 통하여 행복과 함께 희망적
            품 등 130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메시지가 전달되길 바란다.
            라이징 북서울전 | 5. 16 - 9. 28                                               이경애 초대전 | 9. 3 – 9. 14
            서울생활사박물관 | T.02-3399-2900                                              세종뮤지엄 | T.02-3408-4162






                                              박광린 개인전 | 9. 26 – 10. 1
                                              아트프라자갤러리 | T.033-243-4360
            급격히 변화한 도시 환경 속에서 시민들                                                  집은 물리적인 공간을 넘어, 우리가 돌아
            의 삶의 흔적을 조명하는 이번 전시는 도   박광린은 외부 세계에 놓인 사진 속 피사체를 기록의 대상이 아닌 미적인       가야 할 존재의 중심이며, 기억의 자리이
            시 재개발과 생활문화의 변천을 중심으     실험을 위한 매개변수로 다룬다. 언뜻 모호한 추상 이미지에 가까웠던 사       고, 사랑이 시작되고 완성되는 장소로 화
            로, 변화된 풍경과 그 속에서 살아온 사   진은 가까이 들여다볼수록 어딘지 익숙한 풍경을 내비친다.               면 속 빛과 색은 이 복합적 감정을 조용
            람들의 이야기를 선보인다.                                                         히 증언한다.
            크리스찬 히다카전 | 6. 5 – 26. 5. 10                                           로이사랑나눔회전 | 9. 9 – 9. 13
            서울시립북서울관 | T.02-2124-8945                                              소월아트홀 | T.02-2637-3297









            작가는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로이사랑 나눔회가 “세상의 모든 경계를
            동서양의 회화사와 화법을 혼합해 ‘유라                                                  넘어”라는 주제로 9월 전시회를 개최한
            시아 모드(Eurasian mode)’를 제안, 역                                           다. 김남우, 임경식, 임현주. 최지현, 탁요
            사 속 여러 시간과 공간을 한 화면에 불                                                 준 작가가 참여하며 각자의 특색있는 작
            러 모아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품들로 관람객을 사로잡는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영원히 교차하는 춤전 | 8. 13 – 26. 12. 31  감각퍼즐전 | 7. 25 – 9. 28  최수인, 김혜경전 | 6. 21 – 9. 19  이윤성 개인전 | 8. 27 – 9. 13
            서울시립서소문본관 | T.02-2124-8926  성남큐브미술관 | T.031-783-8000  세종문화회관미술관 | T.02-399-1000  스페이스이신 | T.0507-1446-7896









            감각·참여·공공성이  맞물리는  이번  <감각퍼즐>을 주제로, 마치 하나의 조각   순환하는 감정-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부산의 해변은 캔버스이고, 그 위에서 파
            SeMA 공용공간 프로젝트는 일상 속 잉  들이 모여 전체를 완성하는 퍼즐처럼 독  만드는가’라는 주제로 회화 작가 최수인   도와 사람, 빛과 그림자는 켜켜이 쌓인
            여 공간에 대한 인식 전환과 예술 체험   립적이면서도  긴밀하게  맞물리는  감각  과 미디어아트 작가 김혜경이 참여해, 서  감정의 겹을 쌓는다. 정해진 사물보다 순
            의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하며 공공미술    의 단위들을 ‘감각의 수집’과 ‘관계의 직  로 다른 매체가 만나 ‘감정의 확장’을 탐  간적으로  번뜩이다  사라지는  감정들은
            의 또 다른 방안을 제안한다.        조’의 측면에서 펼쳐낸다.         구할 예정이다.                무한의 상상을 촉발한다.



                                                                                                       93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