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전시가이드 2021년 09월호 이북
P. 63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김정선 개인전 | 8. 18 – 9. 17 박소영 초대전 | 8. 3 – 11. 30
표갤러리 | T.02-543-7337 박도은 개인전 | 9. 3 – 9. 8 호암교수회관 | T.02-880-0320
혜화아트센터 | T.02-747-6943
그림은 내 마음 속에 있는 것을 화면으로 옮기는 것이다. 그것이 명료할 수
록 그림은 더 간결하고 명쾌하게 완성된다. 결국 깊어지는 그림과 더불어
나도 더욱 넓고 깊어질 것이다.
김전선 작가에게 열린 공간/풍경이란 가 자연과 우주에 대한 명상과 사색을 담아
상의 공간이면서, 작가가 꿈 속에서 하늘 낸다. 자연 안에서의 사색과 명상을 통해
을 날며 보았던 풍경과 어린 시절 자연 자연과 벗하여 소요유(逍遙遊)하고자 하
속에서 뛰놀며 보았던 풍경에서 파생된 는 연계선상에서 산수화를 재해석하는
데자뷰의 공간이다. 작업을 시도한다.
아, 당신이었군요전 | 8. 24 – 9. 22 입주작가 릴레이전 | 5. 26 – 9. 30
팔복예술공장 | T.063-212-8801 홍티예술촌 | T.051-220-4919
함미자 초대전 | 8. 31 – 9. 26
창의문뜰갤러리 | T.02-391-0012
시간, 사람, 환경, 기억 등 다양한 변주로 서부산 창작거점공간인 홍티예술촌은
서의 ‘당신’이라는 명사와 ‘이었군요’의 ‘꿈의 대화’ 그림 속 주요 컨셉은 골프를 주제로 20여 년 한결같이 진행해 9월 30일까지 4개월간 매달 2개의 총 8
과거형과 함께, ‘아’라는 감탄사로서 지 오고 있다. 현재는 전통 한복을 입은 골퍼를 컨셉으로 다양한 재료를 사용 개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전시는 전시장
금, 현재까지의 시간을 내포하며 과거와 함으로 해학적인 회화풍경을 그려낸다. 1층, 2층에서 「2021 홍티예술촌 입주작
현재를 이어준다. 가 릴레이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일상의 회상: 사계(四季)전 | 6. 1 – 12. 31 정정엽 개인전 | 8. 26 – 11. 7
풀짚공예박물관 | T.070-4786-0020 화이트블럭 | T.031-992-4400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를 벗어나 정정엽은 붉은 판과 같은 곡식과 나물을
우리의 일상에 변화를 주었던 ‘사계’를 통해 여성의 노동과 가사에 대하여 이야
소재로 한 ‘일상의 회상’ 전시를 기획하 기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동시대
여 소중했던 일상을 뒤돌아보고 자연의 를 살면서 교감해온 여성의 초상을 중심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한다. 으로 한 작업을 선보인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김옥기 개인전 | 9. 4 – 9. 25 이정섭 개인전 | 8. 17 – 9. 6 각자성석, 돌에 새긴 축성의 기록전 | 4. 13 – 9. 12 김향안, 파리의 추억전 | 4. 30 – 12. 31
하모&리갤러리 | T.010- 9765-4973 하원미술관 | T.061-351-3101 한양도성박물관 | T.02-724-0243 환기미술관 달관/수향산방 | T.02-391-7701
김옥기 작가의 작품을 보고 있노라면 아 일몰이 가장 아름다운 영광 백수 해안도 한양도성 각 구간에 흩어져 있는 각자성 환기의 파리시대(1956-1959) 활동과 연
득한 추억속 한 장면이 떠오른다. 서정적 로에 위치한 하원미술관에서 9월6일까 석(刻字城石)의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 결하여 2004년 별세할 때까지 파리와 뉴
이면서 정감있는 색의 표현은 보는 이의 지 진행하는 이정섭 전시는 코로나로 염 도성의 건설과 관리의 역사를 살펴보는 욕을 오가며 김환기와의 추억 속에서 완
마음을 따뜻하게 보듬어 주며 작가의 따 려스럽기도 하지만 칠산바다를 품은 미 자리로 한양도성의 역사적 가치를 되돌 성한 김향안의 초현실적이며 몽환적인
뜻한 감성을 느낄 수 있다. 술관은 지친 몸을 안아주기에 충분하다. 아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유화작품을 에세이와 함께 소개한다.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