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전시가이드 2021년 09월호 이북
P. 60

Form, Landscape, ane Meomries Lost전 | 7. 23 – 9. 4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전 | 9. 17 – 12. 12
        송은아트스페이스 | T.02-3448-0100           아상블라주전 | 9. 1 – 9. 7               아르코미술관 | T.02-760-4602
                                             인영갤러리 | T.02-722-887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아상블라주
                                 (assemblage)’라는 주제로 전시회를 준비했다. ‘아상블라주(assemblage)’
                                 는 프랑스어로, 일상의 용품 등을 모아 조합하여 원래의 용도가 아닌 미술
                                 작품을 만들어낸다는 미술의 기법 이름이기도 하다.

        라오미 작가의 협력 기획으로 고미술품                                                   인간과 자연이라는 분리된 인식의 틀을
        을 풍경의 요소로 상정하고 구성하며 새                                                  교란하면서 인류 역사에서 간과했던, 현
        로운 서사를 입히는 신작과 고려시대부                                                   상 이면의 가치들을 일깨우는 방식이자
        터 근현대까지 도자, 서예, 회화 등 다양                                                현 사회에 드리워지는 인간의 삶과 현실
        한 소장품을 선보인다.                                                           의 무게를 살피고자 한다.
        자연 속으로전 | 7. 20 – 12. 11                                               이수경 개인전 | 7. 29 – 9. 26
        수원시립미술관 | T.031-228-4107                                               아트선재센터 | T.02-733-8945






                                           임현주 개인전 | 9. 8 – 9. 14
        포스트 코로나로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                갤러리라메르 | T.02-730-5454             권력의 상징인 왕관을 받침대로 두고, 영
        이 대두됨에 따라 ‘자연 속 이야기’와 ‘자  힘든 삶을 견디어 내다보면 몸과 마음에 상처가 생기고, 그것이 치유된 흔     적인 사물이자 신체인 작업의 형태를 뽑
        연 속 움직임’으로 참여자의 지속적인 행                                                 아 올린 후 하나의 군상을 이룬다. 철, 놋
                                 적이 남기도 한다. 그 흔적은 언뜻 보았을 때 보기 흉할 때도 있지만, 열심
        동이 작품의 일부가 되는 참여예술 프로                                                  쇠, 유리, 진주 등 다양한 수공적 재료들
                                 히 살아온 과정에서 생기는 훈장처럼 빛날 수도 있다.
        젝트로 진행된다.                                                              이 작품의 표면을 덮고 있다.
        바람보다 먼저전 | 8. 18 – 11. 7                                               조유정 개인전 | 9. 3 – 9. 22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 T.031-228-3665                                           아트스페이스퀄리아 | T.02-379-4648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존재였던  시                                                무늬는 눈 둘 곳을 잃게도 하고 집중하
        인  김수영(金洙暎,  1921-1968)의  「풀」                                          도록 만들기도 한다. 거리를 두고 멀리서
        (1968)에서 차용하였다. 유연하고 강인                                                보게 되면 무늬가 된다.대상과의 물리적
        한 ‘풀’은 ‘바람’같은 고난에도 뿌리 뽑히                                               거리를 조절해 보는 심리적 거리감으로
        지 않는 끈질긴 생명력을 자랑한다.                                                    연결될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시대를 개화하다, 꽃전 | 5. 12 – 9. 30  혀와 손톱전 | 8. 3 – 9. 25  13 번째 망설임전 | 4. 13 – 22. 3. 27  박민규 개인전 | 9. 17 – 10. 7
        숙명여대박물관 | T.02-710-9134  아라리오갤러리서울 | T.02-541-5701  아라리오갤러리천안 | T.041-551-5100  아트스페이스퀄리아 | T.02-379-4648









        ‘개화’를 중의적으로 해석하여 꽃이 피어  날카롭고 거친 선과 두텁고 부드러운 선  30-40대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함  큐브들과 수많은 고리들이 일정한 간격
        나고 문화가 번영하는 ‘개화(開花)’를 통  이 혼재하는 붓질, 탁한 색과 밝은 색이  으로써 작가들의 눈으로 본 현실의 다양  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에서 대중 사회
        해 전통에서 근대로의 ‘개화(開化)’를 재  뒤엉키면서 만들어내는 생경함 등 미묘  한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 실패에 대해  의 획일성과 도시의 단면이 드러난다. 작
        조명하며 역사를 되짚어보는 것이 이번  한 미적 감흥에서 작가 회화만의 독특한  망설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의 메시      은 철제 고리가 그림자로 연결되어 도시
        전시회의 특징이다.              묘미들을 발견하게 된다.          지를 전하고자 한다.             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반영한다.



        58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