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2025년 4월전시가이드
P. 38

김구현 컬럼


         AIAM 갤러리 전속 글로벌회원

        ‘새로운 트렌드’를 품은 김예나 작가



        글 : 김구현 (AIAM Gallery 대표 & IP빅데이터 분석전문가)










































        ADAGP 글로벌저작권자 연합회 공식사이트에 게재된 jade fadojutimi 및 Stephen Wiltshire 등록 페이지





        김예나 작가는 15세의(2010년생) 발달장애 화가이다. 그러나 분명히 감지되     미술>에서는 새로운 표현과 주제의 시도들이 나타났다. 개념적 표현, 혼란한
        는 사실은, 그녀가 평범한 일반인과 달리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  시대, 재료의 실험, 사회적 메시지 등 현대 미술을 딱 하나의 특징으로 정의하
        을 통해 특정한 분야에서 천재적인 지적 능력을 표출한다는 점이다. 의학적        는 것은 쉽지 않기에 사람들이 멈추고, 생각하고, 세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보
        인 분석에 따르면, 우리의 몸은 어느 부분이 손상을 받거나 떨어질 때 다른 것     게 만드는 발상 그 자체인 셈이다. 현대 미술에서는 논란이 될 수 있는 소재나
        에서 그 기능을 보완하려고 하는 작용에 의해 뇌에 손상을 입은 뇌 장애인들       재료를 활용해 예술적 경계를 도전하고, 노출되지 않은 주제들을 다루며, 관
        은 손상을 당하지 않은 쪽의 뇌가 손상당한 뇌의 기능을 대신하려고 발달했        객의 편견이나 예측을 깨는 파격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을 선보인다. 소비문화,
        기 때문에 천재적인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고 한다. 참고로, 상징적인 발달 장      성 정체성, 연령, 정치, 종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독자적
        애 <현대미술> 화가이자 천재〔ADAGP 글로벌 저작권자〕 로 유명한 영국 출     으로 해석하고 표현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비판의 목소리를 표출한다. 또한
        신의 스티븐 윌트셔(Stephen Wiltshire)는 런던에서 카리브해 출신 부모로부  부분적인 현실을 표현하거나 현실 반영을 통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
        터 태어나 3살 때 자폐증 진단을 받았고, 5살 때 특수 학교에 입학한데 이어     다. 현대사회의 혼란과 불안, 갈등 등을 작품을 통해 전달하며, 이로써 관객에
        8살 때부터 도심 풍경을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했으며, 9살때 말을 하기 시      게 사회적인 문제들에 대한 생각을 유도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이 예술가들이
        작했다고 한다.                                        현대미술의 다양한 측면과 문제들을 탐구하고, 미술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하
                                                        며, 관객에게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대미술의 가장 큰 특징 중 하
        여기서 잠시 생각을 정리하고 넘어가보자. 과거의 미술사조와는 달리 <현대        나는 전통적인 기술과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매체와 현대 사회의 복


        36
        36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