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전시가이드 2025년 08월 이북
P. 71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박정일 개인전 | 7. 1 – 8. 31 크리스찬 히다카전 | 6. 5 – 26. 5. 10
복현어울림센터 | T.053-939-3530 조명환_It's 몽유도원 사진전ㅣ7.1 - 8. 31 서울시립북서울관 | T.02-2124-8945
KM galleryㅣT. 02-3465-1007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이 꿈에 본 풍경을 안견에게 그리게 한 산수화로 산
사진을 찍는 조명환은 몽유도원이 꿈속의 산이 아닌 한국의 산에 실제로
존재하는 풍경임을 증명하듯이 사진 작품으로 내 보인다.
사라지는 삶의 흔적들을 기록하면서 생 작가는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성과 소멸이 하나의 연결된 선상에서 프 동서양의 회화사와 화법을 혼합해 ‘유라
레임 속의 기호와 상징들은 시각적인 무 시아 모드(Eurasian mode)’를 제안, 역
의식을 표현하고 감상자는 순환으로서 사 속 여러 시간과 공간을 한 화면에 불
의 영원성을 기억하길 원한다. 러 모아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2025 해외작가 초대전 | 7. 24 – 8. 31 모네에서 앤디워홀까지전 | 5. 16 – 8. 31
봉산문화회관전시실 | T.053-661-3500 세종문화회관미술관 | T.02-399-1154
김선영 초대전 | 8. 6 – 8. 14
장은선갤러리 | T.02-730-3533
약 8개 국가의 작가들이 참여해, 각자의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아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자연을 통해 순수하고 평화로워지며, 때론 열정적이고 활동적인 에너지로 트 갤러리(Johannesburg Art Gallery,
통해 관람객들은 다양한 국가의 문화적 채워진다. 작가는 거시적 사건에서 느끼는 것이 아니라 작고 평범한 일상 JAG)의 주요 소장품 143점을 선보이는
배경과 예술적 색채를 경험할 수 있을 것 속에서 삼라만상과 교감하며 체득한다 대규모 기획전으로, 서양미술사의 흐름
으로 기대된다. 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기록하고 공유하는 예술전 | 6. 14 – 8. 10 최수인, 김혜경전 | 6. 21 – 9. 19
부천아트벙거B39 | T.032-321-3901 세종문화회관미술관 | T.02-399-1000
1세대 작가 유족들의 협조와 부천시의 순환하는 감정-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기존 소장품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오 만드는가’라는 주제로 회화 작가 최수인
랫동안 창고에 보관되어 있던 작품들을 과 미디어아트 작가 김혜경이 참여해, 서
‘살아있는 미술’로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 로 다른 매체가 만나 ‘감정의 확장’을 탐
는 의지가 반영되었다. 구할 예정이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제주 바당전 | 8. 21 – 8. 26 라이징 북서울전 | 5. 16 - 9. 28 여운혜전 | 24. 12. 17 – 8. 17 푸룻푸룻프렌즈전 | 4. 11 – 8. 31
서귀포예술의전당 | T.064-760-3341 서울생활사박물관 | T.02-3399-2900 서울시립북서울관 | T.02-2124-5201 소마미술관 | T.02-425-1077
천혜의 자연환경을 품은 서귀포는 이중 급격히 변화한 도시 환경 속에서 시민들 도시의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버 바나나 씨앗 ‘빠씨’를 찾아 신비의 섬 ‘바
섭거리 등 예술의 향기가 가득한 예향의 의 삶의 흔적을 조명하는 이번 전시는 도 려지거나 방치된 존재들을 다시 살피며 나나 아일랜드’로 떠나는 여정을 중심으
도시다. 이번 행사는 예술성과 감성이 어 시 재개발과 생활문화의 변천을 중심으 자신만의 위트있는 실천을 이어가는 여 로 각양각색 과일 캐릭터들이 동물과 결
우러진 서귀포에서 수준 높은 문화예술 로, 변화된 풍경과 그 속에서 살아온 사 운혜 작가를 초대해 대규모 신작을 선보 합한 ‘푸룻푸룻 프렌즈’로 등장하고, 관
을 경험할 수 있다. 람들의 이야기를 선보인다. 인다. 람객은 이야기 속 주인공이 된다.
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