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2025_서울인 봄호
P. 29
서울인 2025 Spring _ Vol. 390
습니다. 구합니다. 유물과 같은 유형적인 것을 연구 대상 있나요?
----------------------------------------- 으로 다루기도 하고요 종교와 사고방식 같은 무 -----------------------------------------
편집위원: 그럼 학창 시절 여가 시간에는 어떻게 형적인 것을 연구 대상으로 삼기도 합니다. 안신원 동문: 네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서 유해를
지내셨나요? ----------------------------------------- 발굴할 때 뼈가 발굴되면 그 뼈를 분석하여 영양
----------------------------------------- 편집위원: 문화인류학을 전공하려면 무엇이 가 상태 등을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무엇을 주로 먹
안신원 동문: 저는 야구를 워낙 좋아해서 우리 장 필요할까요? 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곡물을 많이
학교 야구 경기를 여러 번 보았습니다. 아침부터 ----------------------------------------- 먹었는지 아니면 해양 생물을 많이 먹었는지까
야구장에 나가서 하루 종일 야구를 본 적도 있었 안신원 동문: 가장 우선적으로는 체력이 좋아야 지 알 수 있죠. 그리고 전쟁범죄를 밝혀 내는 과
습니다. 36회가 3학년이었을 때 우리학교 야구 합니다. 정에서도 문화인류학의 역할이 있습니다. 예를
가 전국을 석권했던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우 ----------------------------------------- 들어서 집단 학살 범죄의 경우 학살 범죄 희생자
리 학교가 우승을 했던 날 모두들 흥에 겨워서 편집위원: ‘체력이 좋아야’한다니, 뜻밖입니다. 그 시신을 처리하는 방식, 매장 형태 등을 통해서도
동대문을 떠들썩하게 만들었었죠. 너무나 신났 이유가 궁금합니다. 누가 어떻게 묻었는지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그
습니다. ----------------------------------------- 리고 집단 매장된 유해의 뼈를 분석하여 이 뼈의
----------------------------------------- 안신원 동문: 유물을 발굴하는 일은 매우 체력적 주인이 어린이와 여성인지 아니면 젊은 남성인
편집위원: 그럼 이번에는 문화인류학에 관하여 으로 매우 힘든 일입니다. 티비 뉴스에서 유물 발 지를 분석합니다. 분석 결과 집단 매장 대상이 어
이야기를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화인류학 굴 관련 리포트를 보신 적이 있으시죠? 몇 날 며 린이와 여성이 대부분이라면 이것은 학살의 증
은 어떻게 전공하게 되셨나요? 칠을 벌판, 숲, 산에 가서 땅을 파고 유물을 찾고 거로 판단합니다.
----------------------------------------- 흙을 털어 내는 등 체력적인 소모가 많습니다. -----------------------------------------
안신원 동문: 고등학생 때 학교에서 특강이 열린 ----------------------------------------- 편집위원: 저는 지금까지 문화인류학이 고대 유
적이 있었는데 그 특강이 너무나 재미있었습니 편집위원: 요즘은 디지털과 모바일 세상이 되었 물만을 대상으로 삼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다. 흥미진진했죠. 그때 특강을 하러 와 주신 한 기 때문에 사람들이 힘든 일을 꺼려하는 분위인 자세한 말씀을 듣고 나니 근현대사에도 없어서
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님께서 우리학교 11 데 말이죠. 이런 야외 활동에 학생들이 잘 참여하 는 안 될 학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은 워낙
회 선배님이셨습니다. 그분은 훗날 저와 사제지 는지 궁금합니다. 경제적인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라서 그
간이 됩니다. 저희 아버지께서도 11회 졸업생이 ----------------------------------------- 런지 인문학에는 정부 투자가 많지 않은 것 같습
시니 두 분 이 동기시죠. 그런데 어느 날 두 분이 안신원 동문: 아무래도 요즘 학생들은 현장에 나 니다. 동문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
약주를 하셨어요. 그날 아버지께서 귀가하시더 가면 힘들어합니다. 그래서 문화인류학과가 점 니다.
니 저한테 문화인류학과가 재미있는 곳이니 거 점 매니아들의 학문이 되어가고 있죠. (웃음) -----------------------------------------
기 한번 가보라고 하셨어요. 그렇게 인연을 맺게 ----------------------------------------- 안신원 동문: 그렇습니다. 사실 대학에서도 경제
되었죠. 그렇게 인생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편집위원: 박물관하고 인연은 언제부터 맺으신 적인 가치를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인문학이 어
----------------------------------------- 건가요? 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희 학과만 해도
편집위원: 앞서 말씀해 주신 것처럼 서울고가 인 ----------------------------------------- 공식적인 발굴로 국가 예산을 받아서 사용하는
생의 터닝포인트가 된 것이 맞네요. 안신원 동문: 아마 40년쯤 되었을 겁니다. 제가 일이 있습니다만 워낙 예산이 빠듯하다보니 발
----------------------------------------- 만 19살에 대학 입학할 때쯤부터 박물관과 인연 굴 및 연구에 참여하는 학자들이 여러 모로 어려
안신원 동문: 그렇습니다. 을 맺었으니 그 정도 세월이 지난 것이죠. 학부 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생 시절부터 대학원 시절, 박사 과정 거쳐서 교 -----------------------------------------
편집위원: 사학과는 많이들 알고 있는 학문이지 수가 되고 그렇게 계속 박물관과 인연을 맺고 있 편집위원: 인문학의 가치를 크고 넓게 인정하는
만 문화인류학은 생소하게 느끼실 분이 많을 것 습니다. 박물관장으로는 약 10년 정도 된 것 같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좋은 말씀
같습니다. 문화인류학은 어떤 학문인가요? 습니다. 많이 들었습니다. 다음에 다시 뵈었으면 좋겠습
----------------------------------------- ----------------------------------------- 니다.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
안신원 동문: 쉽게 말씀드리자면 이렇습니다. 인 편집위원: 요즘은 과학 기술을 활용하여 문화 립니다.
류학이든 고고학이든 결국 사람에 관한 연구를 인류학 관련 연구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 -----------------------------------------
하는 학문입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연 다. 과학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은 어떤 것들이 안신원 동문: 감사합니다.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