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교화연구 2021여름호
P. 39
었지만 현재는 새나 사람, 짐승의 털을 포괄하 氣·후候·절節·연年·세歲입니다. 간단히 말씀
는 뜻으로 쓰입니다. 심지어 털처럼 보이는 것 드리면 1년을 24절기와 72절후로 나누는 등을
까지 쓰이고 있어서 사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합 말합니다.
니다.
* <설문해자設文解字>에서는 기氣를 운기雲氣,
‘각시 씨氏’는 모계혈족 사회의 흔적으로‘뿌리 즉 구름이라 풀이하는데, 은殷·주周시대 이전
씨’로 새기기도 합니다.‘성姓’과 ‘씨氏’로 나눌 부터‘기氣’는 바람이나 구름을 포함한 기상氣
때, 모계중심사회인‘성姓’에서 따로 떨어져 나 象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다는 뜻입니다. 기상
와 어느 지역[땅;口]에 가서 뿌리[氏]를 내리 과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천기天氣와 땅의
면‘씨氏’가 되었고, 그다음 형성된 글자가‘백성 기운인 지기地氣가 결합하여 곡물이 생장하고,
민民’입니다. 동물은 식물의 생명력을 소화·흡수의 과정을
강태공姜太公은‘강姜’이라는‘성姓’과‘상尙’이라 거쳐 활동력으로 삼는다고 옛사람들은 생각했
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지만 주왕조周王朝를 건 습니다. 기는 이렇게 해서 생태계 일반을 두루
국하고 난 후‘여呂’라는 지역에 봉읍封邑을 받 관통하고 있는 우주적 생명력이 펼쳐진‘천삼라
았으므로 성과 씨를 합쳐서 ‘강여상姜呂尙’이 天森羅 지만상地萬像’의‘삼라만상參羅萬像’을
라고 한 것이 그 예입니다. 강태공은 무왕武王 뜻하게 되었습니다.
의 할아버지인 고공단보古公亶父[太公]가 바 인간의 생명 역시 기氣의 흐름이라고 파악하
라던[望] 인물이라는 뜻의‘태공망(太公望)’에 였습니다. 그것이 피의 순환과 연관된다고 보
서‘강태공’이라는 별칭이 생긴 것입니다. 아‘혈기血氣’라 했고, 호흡이 그 관건이라 보
* 아‘기식氣息’이라 했습니다. 내적 생명의 상태
‘기운 기气’는 나중에‘기氣’로 쓰게 되고,‘기气’ 는 자연히 밖으로 드러난다 해서‘기색氣色’이
와‘미米’로 파자해破字解하면서 조상으로부터 나‘기분氣分’,‘기품氣品’이라는 표현이 있게 되
받아오는 선천의 기운과 후천적인 기운인 섭생 었죠. 글에는‘문기文氣’가 서려 있고, 글씨에서
이나 지식의 축적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 는‘서기書氣’가 담겨있게 되는 것도 동일한 맥
되었습니다.‘기氣’는 동양철학의 중심개념의 하 락입니다.
나로 기의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질병은 체내에 있는 기氣가 순조롭게 돌지 않
농경사회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둘 을 때 생기는 현상으로 파악하였습니다. 한의
필요가 있습니다. 하늘과 땅 사이의 6가지 기운 학에서의 치료治療는 엉킨 기氣와 막힌 맥脈을
인 6기六氣, 곧 음陰, 양陽, 풍風, 우雨, 회晦[어 소통시키는 것이라고 합니다.
둠, 밤], 명明[밝음, 낮]으로 이루어져서 기절氣 맹자는‘의지가 굳으면 기를 움직일 수 있다’고
節[氣候]이 나누어지게 되는데, 일日·시時·기 기氣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또 한편 순수
교양 및 문화 ┃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