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교화연구 2021여름호
P. 9
2. 스승님의 수행과 마음 다스리기
스승님의 수행의 기본은 희사, 염송, 경전 공부 및 실행론 수지독송이 아닌가 한다. 수행법에 관
해서는 육자진언관련 경전과 보리심론 및 실행론 가운데 수행과 관련된 내용과 종단의 수행관련
논문과 자료를 찾아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회당학보, 밀교학보, 밀교총람의 관련 책자
등 참고할 수 있는 책자를 통하여 수행에 대한 기존의 정리된 내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
탕으로 자신이 스스로 체험, 증득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연찬(硏鑽)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마음을 다스리는 방편 또한 수행과 따로 있는 것이 아니기에 자기 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경
전공부나 독송, 사경 등이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특히 경전공부는 스승으로서의 자기 확립과 신념
을 형성하는데 연관성이 많기에 자신이 좋아하는 경전을 정하여 수시로 독송하는 것도 좋은 방법
이 될 것이라 생각해 본다.
특히 스승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잘 파악하고 자기중심을 세우는 것이 마음을 다스리는데 도움
이 된다고 생각된다. 이런 차원에서 스승님은 불교 역사상 어떤 위치에 있는가 하는 것을 잠시 언급
하고자 한다. 스승의 자기 정체성 파악으로 출가 스님에 대한 불필요한 자격지심을 버리고 또한 동
시에 재가의 모습으로 있기에 세속에 쉽게 물들어버리는 오류를 함께 지양(止揚)하고 오롯이 자기
존재의 이유를 당당하고 명확히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1) 대승 재가보살과 재가보살의 존재이유
대승불교의 교리와 역사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재가법사라고 할 수 있다. 재가법
사는 소승불교의 출가 승려들이 승원[정사(精舍)]에서 생활하는데 반해,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불
탑을 지키고 수호하면서 부처님의 가르침에 충실했던 재가자이면서 동시에 대승불교의 보살이라
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확립하고자 했던 인물들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소승불교 출가승들이
아라한이라는 이상적 인간상을 추구한데 반하여 이들은 반야사상에 입각하여 출가와 재가의 이분
법적 구분을 넘어서 세속에서 중생을 교화하는 재가 보살이라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반야경과 유마경을 필두로 하여 법화경, 화엄경 등에서 거사, 법사, 보살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였
으며, 이것은 밀교경전인 대일경과 대승장엄보왕경 등에서도 선남자 선여인과 재가 법사를 등장시
키며 대승불교 재가전통을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진각종의 스승님은 재가보살이자
법사이자 유마와 같은 거사이자 선남자 선여인인 것이다. 유마경의 유마거사가 그러하였듯이 부처
님의 10대제자인 출가승들의 집착에 대하여 완전한 반야의 도리로 그 같은 집착을 넘어선 경지가
재가보살의 참된 마음의 경지라는 것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재가보살의 정신적 가치
와 존재 이유를 당당히 밝힌 유마경은 대승불교의 존재이유를 세상에 천명하였고, 그와 함께 대승
주제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