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49

헌신  할  때에만  성경에서  ים(함미테나데빔/즐거이  헌신,
            삿  5:9)이다.


              역시  문법적  요소들,  전자,  ים(복수)과  앞부분의  (함미테)를
            뺀  (나데비/즐거이  헌신)’이다.  헌신  י(히티테나데티/

            즐거이  헌신)에서도  후자  י(티/종결형  어미)와  앞부분의  (히
            테)의  정관사  밑  시제를  빼면  (나데베/즐거이  헌신),  곧    ‘나
            데비’이다.  ‘넓다’와  히브리어의  ‘라하브’  :  한국어에는  ‘넓다’가
            있다.  히브리어에서는  ב(라하브)가  있다.



              '넓히다':-  넓게하다,  공간을  만들다,  넓게  (터지게)  만들다,  넓
            다,  넓어지다,  크다,  커지다,  광대한  목초지,  확장하다이다.  네

            게’와  ‘레그’  :  한국말에는  ‘네게’라는  말이  있다.  이  2인칭  지칭
            은  히브리어에서도  그대로  레그  (레그/네게)가  있다.  그  예는
            (바야아킬레카/네게  먹이신  것은,  신  8:  3)・네게  먹이셨나
            니  (함마아킬레카/네게  먹이셨나니,  신  8:  16).



            ‘내가  할  일’과  ‘나할’  :  한국에서  자기  것을  순수한  한국말로

            ‘내해’(나의  것)라고  하고  ‘나’라는  사람이  ‘할’일이  있다고  한다.
            성서의  ‘나할’    17)   ל(나할)은  유업,  기업의  뜻이다.  이  '유업‘은
            동적  이미지로서  숨  쉬게  해  주는  일이다.  이  ‘내해’의  뜻인  ‘나
            할’은  ל(할)에서  (헤트)는  지붕,  울타리이어서  하나님  안에서

            할  일을  목적  ל(라메드/....하기  위하여)을  가지고  있어서  하나님
            일을  하여야  하는  사람이다.



              17) 李英芝, 『한국인이 복을 받는 물은 생명이다와 한국말과 성경의 히브리어와는 닮았다.
                 그 이유』(서울: DSB 한국문학방송, 2009), 386.

                                                                      -  48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