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48

때  볼  것을  즐거워하다가  보고  기뻐하였느니라  하였다(요  8:56).


              한국어에는  ‘나아가서’와  ‘나아가스’  :  한국어에는  ‘나아가서’라

            는  말이  있다.  가까이  근접하는  의미를  가진다.  히브리어에는
            ‘나아가스’  שׁ(나아가스/καί  προσεγγίσας  나아가서,  신  20:

            2)가  있다.  ‘다  나타났다’의  ‘다  나타’와  ‘타나타,’  :  한국어에는
            ‘나타났다’는  말이  있다.  성서에  ‘나타’  ח(나타/나타나고)  기본
            형은  문장  중에서  ‘타나타’(타나타아흐/뜨고,  출  29:17)가
            있다.



            또한  ‘나탄’  ן(나탄)은  이  세상에  나타난  것은  하나님께서  주시
            어  ‘나타났다’로  되어  있다.  ‘놋’과  ‘놋’  :  한국에서는  ‘놋’이  있

            다.  히브리어에서는  ‘놋’ת(놋/놋,  출  30:18)이  있다.  ‘내다버
            려’와  ‘레다부니’  :  한국말에는  ‘내다버려’가  있다.  물건을  버리
            거나  하는  뜻으로  소외시키는  의미인데  히브리어에는  ‘레다부
            니’  י(레다푸니/나를  핍박하오니,  버리니,  시  119:86,  161)가

            있다.  기본형은  ף(라다프)이다.  ‘내다봐’와  ‘내다봐’  :  한국말에
            는  앞을  ‘내다봐’라는  말이  있다.



              히브리어에서는  ‘내다봐’  ה(네다봐/즐거이  드림,  출  35:29)가
            있다.  ב(베히테나데브/즐거이  헌신,  삿  5:2)의  경우  앞에
            붙는  (베히테)는  모두  문법상  붙은  과거형    (테),  (히),  베

            (베/하나님  안)일  뿐  ב(나데하/즐거이,  삿  5:2)  본래  언어는  헌
            신하는  일이다.  따라서  앞을  내다  보는  일은  헌신에서  이루어
            진다.  한국말에는  '나덴다,  왜  그렇게  나데느냐‘가  있다.  곧  ’유

            난을  떤다‘이다.  이러한  말과  연결은  하나님께  즐거이  드리거나



            -  47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