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47

유행하고  있는  “아빠”라는  한국인들의  호칭은  심지어  아내도  남
            편을  향하여  “아빠”라고  부른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자기의  아
            들,  딸들을  다른  이에게  이야기  할  때에  ‘애비,  애미’라  한다.

            ‘아비’의  개념이  אַ(아브/아비)이고  한국어나  히브리어가  똑같은
            ‘아비’는  성경  전체에서  656회이며  그중에  ‘아비가'만도  60회                   14)

            이상이다.


              한국어에는  어머니의  언니나  동생을  ‘이모’라고  한다.  히브리어
            에서는  모친을  ‘이모’        15) אּמוֹ(이모/어머니)라고  한다.  한국의  경북

            지방에서는  자기를  낳아준  어머니를  부를  때  ‘엄마’라고  부르는
            데  히브리어에서는  ‘임마’  הּאּ(임마/어미,  창  24:28)가  있다.  믿
            음의  조상  םאַ(아브라함/믿음의  조상)은  글자  그대로  의미를

            찾아본다면  내가  집  안에  머리가  되어  숨을  쉬게  하는  일을  하
            는  일의  사역이다.  이때의  집은  하나님의  집  안이다.


              내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안에  있음으로써  집  안에

            서  어른  노릇을  할  수  있다.  본래의  이름  ‘아브람’  םאַ(아브람)
            에게    숨  쉴  수  있도록  하시는  (하/숨구멍,  숨쉼)만  더  붙어서

            내가  집  안에서  하나님  아버지의  힘으로  숨을  쉴  수  있도록  되
            는  상태가  된  아브라함이다.  과거의  고향  아람(창  24:  4)에서의
            유리하던  곳     16) 을  떠나  가나안  땅으로  온  아브람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이  되었고  그의  때에  이미  너희  조상  아브라함은  나의



            14) 한국어와 히브리어는 닮았다 이영지 교수(서울 기독대학교 대학원 학술원)

            16) 유리하는 히브리어 אדב(오베드)/길을 잃다)는 길을 잃어 멸망할 뜻을 지니며 아바드는 분사
            형(욥 29: 13창 4: 2)이다. 곧 야곱의 외가도 포함되는 속이다. 야곱이 애굽으로 내려갈 때의 비
            참한 상황(KJV)・유리하는 야곱으로 외삼촌 라반에게 학대 받음(LXX)으로 본다. 야곱이 애굽으
            로 데리고 간 70여명의 소수(창 46: 27; 신 10: 22)도 이에 해당.

                                                                      -  46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