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42

자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사라진  반면,  상대적으로  안전지대였
            던  일본에서는  가림토  문자를  모방한  아히루  문자(신대문자의
            일종)가  남아  있다.  하지만  가림토  문자설은  국어학계에서  전혀

            인정을  받지  못했다.



              우선  문자  발달사의  원리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는  것이다.  문자
            는  일반적으로  그림문자와  상형문자의  단계를  거쳐  표의문자나
            표음문자로  발전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서기전  2181년이면
            수메르  상형문자와  이집트  상형문자나  존재할  정도이고,  중국

            갑골문자가  아니라  우리  조상  동이족(東夷族)                 13) 이  만든  우리  글

                세기에  사용된  글자가  틀림이  없다고  하였다.  대동강변에서  출토
                된  아주  희귀한  고조선시대  와당(瓦當)은  현재  국립서울중앙박물
                관과  광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어  계통  –  알타이어족설과
                동북아시아어족설  (초안는  2006.  4.  23  정수  06.  5.  16)  최종민
                (한국방송  통신대학교  시간  강사)


            13)  중앙일보  흥콩  –  최형규  특파원  CHKCT@OONGANG.CO.  갑골문
                자보다  1000년  앞선  골각문자  발견사  입력  2008-10-22  02;20  수
                정  2008.10.22.  16:51.  중국  고고학자들은  당시  산둥  지역은  한민
                족을  포함한  동이(東夷)족들이  집단으로  거주했기  때문에  이  골각
                문자는  동이문자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류  소장은  “문자의  모
                양도  고대  상형문자인  동이문자  계열에  속한다”고  지적했다.  류
                소장은  이어  “안양(安陽)을  중심으로  한  은허  지역에서  발견됐던
                갑골문자도  동이족의  골각문자가  발전한  형태일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20세기  중국  고고학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이
                갑골문자의  발견이었다면  골각문자의  발견은  중국  역사를  지금보
                다  1000년  이전으로  돌리는  21세기  중국  고고학의  역사적  사건”
                이라고  평가했다.



            -  4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