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39
부터 학문에 뜻을 두고 성실히 공부하였소. 조금도 게으르지 않
았다오”(실록, 세종 1년 2월 17일). 유명한 일화가 있다. 어린
시절부터 평소 독서를 너무 좋아한 세종이 잠시 몸이 아팠다.
이때 부왕(태종)이 환관에게 명해 방 안의 서책을 모두 감췄다.
그런데 책을 다 치우기가 민망했던지 송나라의 구양수와 소식
이 주고받은 서간집 [구소수간(歐蘇手簡)]만은 남겨뒀다. 그랬더
니 왕자는 그 책을 부지런히 읽었단다. 거의 독서광이었던 셈이
다. 왕이 된 뒤로도 책 읽는 습관은 여전해, 식사 시간에도 상
옆에 책을 펴놓고 읽었단다. 밤이 깊도록 독서 삼매경에 빠지기
일쑤였다.
덕분에 왕은 여러 방면에 능통했다. 읽어보지 않은 중국과의 외
교문서가 없을 정도였다. 기억력까지 뛰어나 “나는 책을 읽고
나서 잊어버리는 일이 없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세종 5년 12
월 23일, 1423년). 따라서 조 박사의 주장대로라면 훈민정음 창
제 당시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히브리문자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동아시아에서 중국어 및 일본어와 함께 3대 문명어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에는 한국말에 한자 어휘가 있
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성이 거의 없다. 우랄 알타이 어족은
우랄 어족과 알타이 어족을 함께 일컫는 말로서, 우랄산맥 근처
의 어족과 알타이산맥 근처의 어족을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우
랄 알타이어족이라 하면 어떠한 공통점에 의해 우랄 어족과 알
타이 어족이 하나의 어족 관계로 묶일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
것은 곧 공통 조상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