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37
춘추전국시대를 지나 진이 중원을 통일하였으나 내부 반란으로
망하고, 한나라가 중국을 재배하였다.
한은 유학을 장려하고 부흥시켜 한의 세력은 한반도까지 밀려
들어 우리 겨레는 한문화의 지배를 받게 되어 고유의 우리 말과
한자를 병합하여 언어의 변화를 가져왔다. 만약 세종대왕이 한
글을 지어 주지 않았다면 이천여 년 전의 한문화의 영향과 36
년간의 왜정 압박 아래에서 우리 겨레의 독립 자유의 정신을 무
엇으로 유지할 수 있었겠는가.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의 배경의 하나는 민족 문자를 만들어야
겠다는 민족적 자주정신이다. 우리 한글은 세계적 문화유산이
요, 국보인데 학자들은 우리 국자(國字)의 가치를 모르고 너무
홀대해 왔다. 세종대왕(世宗大王)께서 “저런 어리석은 것들이 있
나?”라고, 문자 그대로 “어리석은 백성(愚民)”을 얼마나 가엾이
여기셨을까 송구스럽다. 인류의 문명은 문자에 의해 계승ㆍ발전
된다.
한 민족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언어이다.
우리 한민족의 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특질은 그
들이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와 그 언어를 표현하는 문
자, 즉 한글이다. 현재 남한과 북한은 물론 전 세계의 각 지역
에 거주하는 한민족의 해외동포들은 거의 모두가 한국어를 사용
하고 한글을 쓰고 있다.
한국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 세계의 3,000여 개 언어 중에
- 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