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38

서  언어사용  인구의  규모로  볼  때  20위  안에  든다.  또한  정음
            38자의  가림토  문자를  만들었다.  가림토  문자  38자  속에  28자
            가  거의  다  원형  그대로  들어  있다.  다만  가림토  문자  38자에서

            10자를  제거한  것이  곧  28자인  훈민정음이다.



              한자  문화의  팽창으로  가림토  문자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사
            라진  반면,  상대적으로  안전지대였던  일본에서는  가림토  문자를
            모방한  아히루  문자(신대문자의  일종)가  남아  있다.  훈민정음이
            본떴다는  옛글자(古篆)는  「단군세기」에  기록된  가림토  문자다.

            그리고  이  가림토  문자는 중국  유태인들이  쓰던  히브리  문자를
            모방한  것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은  가림토  문자를  바탕으로  중
            국음운학과  히브리어  문자․히브리어  음운학을  참조해  창제했을

            가능성이  높다.  훈민정음이  가림토  문자를  매개로  한글을  창제
            하게  되었다.


              히브리  문자는  페니키아문자에  기원을  둔  문자로  현재  이스라

            엘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다.  한글은  세종대왕이  눈병까지  앓
            아가며  고심한  끝에  창제했을  뿐  아니라  연구,  발표  과정에도

            주도적으로  진행했다는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한글  창제  과정
                         3)
            의  정설이다.   특히  상당수  집현전  학자들은  오히려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하거나  비협조적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세종대왕
            의  훈민정음  창제  역시  대다수  신하의  반대를  무릅쓰고  추진한

            비밀  프로젝트였다.


              세종대왕은  어린  시절부터  공부벌레였다.  어느  날  신하와  대화

            를  나누면서  세종은  이렇게  회상했다.  “그렇지.  나는  어린  시절



            -  37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