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4 - 제4권
P. 494

5)
                                                                                     6)
                  기(禁忌) 실천,  ④제물(祭物) 장만, ⑤제관들의 제의(祭儀) 진행 및 음복과 결산  등이다.
                    오산 지역에도 다른 지역처럼 무속과 민간신앙들이 존재한다. 역사적으로 무속 관련 자료는 1938
                  년 아끼바(秋葉隆)와 아카마츠(赤松之城)가 쓴 『조선무속의 연구(朝鮮巫俗の硏究)』에서 볼 수 있다.
                  이 자료에는 당시 수원군 성호면 부산리의 무부(巫夫) 이종하(李鐘河)와 이종만(李鐘萬), 그리고 재인

                                           7)
                  청(才人廳) 관련 내용이 있다.  현재의 대표적인 무속의례는 경기도당굿이다. 도당굿은 도당제(都堂
                  祭)라고도 하는데, 경기도 지역에서 마을공동체의 안녕을 위해 행해지는 마을굿을 말한다. 이와 관련

                  해, 오산에는 경기도당굿 이수자(승경숙)가 관계된 굿당인 마등사가 있다. 경기도당굿과 마등사에 대
                  해서는 별도의 장에서 후술하므로 생략한다.

                    오산 지역의 민간신앙 사례는 오산시사를 포함해 여러 자료에 실려 있는 동제 또는 당제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2010년 10월 9일 이후 독산성 세마대 일원에서 축제 성격으로 진행하는 오산 독산

                  성 문화제도 민간신앙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부분은 별도의 장에서 후술하므로 생략한다.





                  제2절    오산시 소재 무속의 현황과 당제



                    오산시에는 암(庵)이나 궁(宮,) 신(神)이나 신당(神堂), 장군, 보살, 애기씨, 역술원, 철학이나 철학
                  원이나 철학관, 작명암이나 작명소 등이 표현이 붙은 업체들이 적지 않다. 다움(daum)이나 네이버

                  (naver)에 있는 명칭과 소재지 중심으로 그 현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오산시 무속 현황

                    연번           명칭              분류                          신주소
                     1    힐링타로                 점          오산시 경기대로 25번길 14(동부아파트 상가동)
                     2    성취원                  운세, 사주     오산시 경기대로 25번길 23
                     3    사주카페                 점          오산시 경기대로 339번길 16
                     4    대윤작명원                작명         오산시 경기대로 99-15

                     5    향일암                  철학원        오산시 경기동로 8번길 18-3
                     6    설화신당                 운세, 사주     오산시 궐동로 69번길 27(e편한세상)
                     7    해동철학작명소              작명/상담      오산시 궐리사로 44(창용빌딩 3층 B302호)
                     8    선기원                  작명         오산시 내삼미동 657

      오산시사

                  5)  금기는 집밖의 출입 제한, 언행 조심, 어류와 육류 금지, 금주와 금연, 매일 찬물 목욕재계, 부부 관계 금지, 출입문 밖 금줄 내 외부인 출
                    입 금지 등이다.
      제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제 항목. 이에 따르면, 동제의 의의는 그 목적이 지역의 생태와 생업에 따라 다르지만 자신의 생업과 마을

      4             의 안녕을 빌며, 마을 사람들이 부정을 가리고 금기를 지키는 신앙 형태를 보인다. 다음으로, 제비와 금기 등을 공유하고 제사에 함께 참
      권             여하면서 심적 유대와 단합과 소속감을 공고히 하는 매개체로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동제는 마을의 문화를 전통으로 계승해 전통 문화
                    의 보존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다음으로 동제는 대동회를 통해 제관 선출이나 제의 비용의 결정 등을 협의해서 결정하고 동제가 끝나면
                    동제 제물을 나누어 먹고 제비를 결산해 마을 공동의 기금으로 적립하거나 경비로 사용하는 경험을 제공해 민주화로서 의의도 있다. 이
                    밖에도 강릉단오제나 은산별신제 등처럼 당굿이 축제로 전개된 경우에는 경제적 의의와 관광적인 의의도 지닌다.
    492           7) 赤松智城·秋葉隆, 심우성 역, 『조선무속의 연구 (下)』, 동문선, 1991, 283-284쪽.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