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8 - 제4권
P. 498

유교식으로 산신제를 지냈다고 한다.            12)
                    이상의 자료들은 오산 지역에 동제 중심으로 민간신앙이 이어졌고, 무속인들의 활동이 적지 않다

                  는 점을 보여준다. 현재 동제의 흐름은 아파트 건설 등 여러 개발사업들이 진행되어 약화되고 있다.
                  다만, 동제 전통의 재생과 관련해, 2019년 제10회 오산 독산성 문화제(10. 11-10. 13)의 프로그램으로

                  풍류마을 상설무대에서 고인돌공원 조성 이전에 있었던 금암마을 산신제(오후 21:30~)를 재현하는
                  노력이 보인다.     13)






                  제3절   오산시 부산동 당집과 성황목


                    오산시에서 원동 북쪽(서울 방향)에 위치한 부산동(釜山洞)은 역사적 변천을 거듭하던 부산리의

                                                           15)
                                     14)
                  1989년 이후 명칭이다.  부산동의 구성을 보면,  부산동에는 우측(북동쪽)에 과거 매사냥과 관련된
                  ‘맴산(매미산)’이 있고, 동쪽으로 ‘부산’이라고 하는 야산(해발 129m, 마을 ‘앞산’)이 있다. 앞산의 가장
                  높은 봉우리는 말등산으로 불렸다가 마등산(해발 145m)으로 불린다. 부산동의 과거 마을 명칭은 ‘큰
                  말’로 마을 앞산(마등산) 밑에 있었는데 현재 위치로 옮겨진 후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의미로 ‘새말’이

                  라고 한다. 부산동 북쪽에는 현재 롯데연수원이 있는 일대에 새말에 비해 잘 고쳐졌다는 의미의 개량
                  굴(마을)이 있고, 개량굴에서 새말로 넘어가는 길에 새말고개가 있다.

                    오산시 민간신앙과 관련해 주목할 부분은 부산동 마을 안에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음력 7월 초하루와 9월 초하루에 마을 주민이 모여 마을제(산신제)를 지내던 당집이 있었다는

                  부분이다. 이른 바 매암산신당(梅岩山神堂)이다.
                    매암산신당과 관련해서는 1995년 『한국의 마을제당』 자료와 2006년 『오산의 마을신앙』에서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1995년 자료에 따르면, 매암산신당 위치는 부산동 마을에서 500m 거리의 앞
                  산이다. 당집 형태는 신주, 제상과 제기를 넣어둔 목조 초가집(4평)과 당집 내 둘레 3m의 신목주(神

                  木柱) 1개, 돌무더기 제단으로 구성된다. 이곳에서는 음력 9월 말일(오후 12시) 매암산 산신제가 진행
                  되었고, 제관은 마을에서 선출된 제관, 축관, 화장, 당주 각 1명이다. 제수 상차림은 술, 흰떡, 백반,

                                                                                                  16)
                  소머리, 과실(果實)이었고, 각 호당 100원 정도 약 10,000원을 제의 비용으로 충당했다고 한다.



                  12)  김용국, 앞의 책, 2006, 24-29쪽(중앙동), 67-68쪽(외삼미동), 68-78쪽(세교동), 78-81쪽(양산동), 81-84쪽(서랑동), 84-87쪽(지곶동),
                     91-95쪽(가수동), 95-97쪽(탑동), 97-98쪽(누읍동), 98-100쪽(두곡동). 부산동 당집은 후술한다.
      오산시사
                  13) 오산성독산성문화제(http://www.doksanseong.kr/page_MjkI95, 2019.9.23. 연계프로그램).
                  14)   1929년 지방행정구역을 보면, 부산리는 가장리, 궐리, 원리, 오산리, 외삼미리, 내삼미리, 수청리, 금암리 등과 함께 성호면(城湖面, 20
                     개 리) 소속이었고, 성호면은 수원군(水原郡, 21개 면) 소속이었다(朝鮮総督府内務局 編,   地方行政区域名称一覧  , 京城 : 帝国地方
                     行政学会朝鮮本部, 1929, pp.19-21.) 1944년 부산리는 1개 읍(수원읍)과 19개 면과 290개 정리(町里)로 구성된 수원군 오산면(20개 리)

      제
      4              소속이었다(朝鮮総督府官房地方課 編,   朝鮮行政区画便覧  , 京城 : 朝鮮行政学会, 1944, pp.13-15.). 그리고 1949년 8월 대통령령으
      권              로 수원군 일부가 화성군으로 변경된다(「三府六邑 昇格」,   동아일보  , 1949.08.14.2면.).
                  15) 한민규, 「중앙동의 지명유래, 구비전승과 전설」,   오산학연구   2, 2016, 313-317쪽.
                  16)   국립민속박물관 편,   한국의 마을제당. 제1권. 서울·경기도편  , 국립민속박물관, 1995, 651쪽. 1989년 1월에 화성군 오산읍 부산리가
                     오산시 부산동으로 승격되었지만 그 이전 자료를 사용해 이 책의 매암산신당 주소는 ‘화성군 오산읍 부산리 웃알마을’이다. 국립중앙
    496              도서관(http://www.nl.go.kr/nl/)에서 ‘한국의 마을제당’으로 검색해 온라인(원문)보기를 클릭하면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