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오산문화총서 3집
P. 55

성 북쪽에는 넓은 평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왕실의 능원관
                                                                                           43)
                       리구역인 火巢로 지정되어 禁養地區가 된 것이 지금까지 이어진 결과로 추정된다.
                         독산성은 삼국통일 이후 고려·조선까지 주위의 관방유적과 함께 외부항쟁에서 중요한 역할
                                                           44)
                       을 담당하는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독산성은 오산시의 북서쪽 가장자리에 솟은 독산
                       (해발 208m) 정선부와 8부 능선을 두르는 테뫼식 석축산성이며, 독산 주변에는 야트막한 구릉

                       과 평지가 이어지므로 주변지역을 조망하기에 유리하다. 또 산성의 서쪽에 인접하여 황구지천
                       이 북→남쪽 방향으로 진행되다 남양만으로 유입된다. 또 한성에서 충청과 전라도 방면으로 내
                       려가는 육로 교통로의 중간지점에 자리한다. 따라서 산성은 주변지역을 조망하기 유리할 뿐 아

                       니라 육로와 해운의 중추적인 요해지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해 독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성되어 조선시대까지 운용된 것임은 분명하지만 정확한 초축 시기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후 임진왜란 때에 권율이 독산성(禿山城)에서 승전을 거두기도 하였는데, 독산성은 당시 이
                       지역의 유일한 관방시설로 1602년(선조 35)에는 수원부사가 방어사(防禦使)를 겸하게 하여 국
                                          45)
                       방상 요충지로 삼았다.  왜란 이후 다시 폐성이 되는 다른 산성들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관리되
                                                                                       46)
                       었는데, 정조 때 현륭원과 화성이 축조되면서 그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었다.  고종 때까지 꾸
                       준히 개축되고 관리되어왔으며 내부의 건물지도 여러 번의 수축과정을 거쳤으며 성내 건물지도
                       꾸준히 개·보수되어 왔다. 『화성지』등의 문헌을 참조할 때 성내 건물이 167.5칸에 이르고, 성
                       내에는 거주하는 민호가 200여 호나 되어 평탄지 대부분이 건물지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

                       다.


                       3. 역사적 배경       47)



                         삼한시대라고도 불리는 원삼국시대에 오산지역은 마한 54개국 중의 하나였던 모수국(牟水國)
                       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그러나 삼한의 소국들이 현재의 어느 지역에 위치하







                       43) 주20)의 보고서.
                       44) 주2)의 보고서.
                       45) 주2)의 보고서.
                       46) 주20)의 보고서.
                       47) 고려문화재연구원, 2016,『오산 내삼미동 유적-오산 세교지구 주변 도로구간 내 유적 시발굴조사-』.


                                                                            오산 독산성 일원 지표조사 보고  53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