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오산문화 61호
P. 19

2016  VOL. 61  osan culture









                       인화의 상징, 독산성                              란 직전까지 남한산성보다 더욱 중시되었다.
                                                                독산성은 군사훈련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었
                       독산성은 임진왜란 때부터 조선왕조가 주목한
                                                                다. 1594년과 1602년 두 차례, 어명을 받은 관
                       군사요새였다. 18세기 후반 독산성은 다시 한
                                                                료들이 독산성을 찾아 군사를 위로하고 무예
                       번 주목 받았다. 정조가 화성을 건설하면서
                                                                시험을 보아 우수한 성적을 거둔 자에게 부상
                       독산성은 화성과 짝을 이루어 현륭원과 행궁
                                                                을 내렸다. 이처럼 독산성이 지역방어는 물론
                       을 수호하고 도성을 방어하는 핵심 군사기지
                                                                군사교육과 무과시험장으로도 활용되었다. 특
                       로 활용되었다. 1800년 이후 군사적 요새로서
                                                                히 주목되는 것은 이 무렵부터 독산성에서 군
                       의 위상은 축소되었지만 현륭원과 건릉을 수
                                                                량마련을 위한 국영농장인 둔전(屯田)을 경영
                       호하는 역할은 더욱 강화되었다. 이와 관련하
                                                                했던 사실이다. 모범적인 운영을 인정받아 다
                       여 독산성에 식목 담당관을 두어 나무 심기와
                                                                른 고을에서도 독산성의 사례를 본받아 둔전
                       수목 관리를 전담시켰던 사실은 새롭게 주목
                                                                을 운영하도록 지시했을 정도였다.
                       해야할 부분이다.
                                                                1610년 비변사의 보고에 따르면, 전쟁이 끝난
                       독산성은 인화(人和)와 지리(地利)의 중요성을
                                                                1598년 이후 경기도의 산성 17곳 중에서 수원
                       널리 알린 역사의 현장이다. 왜군의 포위 공격
                                                                의 독산성만 유일하게 제대로 관리되고 있었
                       을 유격전과 지구전을 배합한 전술로 물리친
                                                                다. 이처럼 독산성의 운영은 다른 고을 산성의
                       독산성에서 승리한 전술적 경험은 행주대첩으
                                                                모범이 되었던 것이다. 광해군은 교하(交河, 김
                       로 이어졌다. 이러한 사실을 배경으로 탄생된
                                                                포)지역에 독성산성의 예에 따라 성을 쌓고 궁
                       세마대의 전설은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희
                                                                을 짓고 때때로 순행할 계획을 세웠을 정도로
                       망을 잃지 않았던 조상들의 용기와 지혜를 후
                                                                독산성을 중시했다.
                       손들에게 전달해 준다는 점에서 되새겨야할
                                                                1624년 ‘이괄의 난’이 일어났을 때 독산성은 인
                       정신문화이다.
                                                                조의 피난처가 되었다. 병자호란 때 경기 방어
                       서애 유성룡은 독산성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사가 수원 군사 3,000명을 이끌고 남한산성에
                       이곳을 도성 방어의 요새로 건설하는데 힘을
                                                                들어가 인조를 처음부터 끝까지 호종하여 인
                       쏟았다. 1596년, 도체찰사의 신분으로 수원을
                                                                조시대에는 독산성을 관할한 수원부사의 위
                       찾은 유성룡은 독산성을 수축하고 창고를 지
                                                                상이 훈련대장과 거의 맞먹을 정도였다. 임란
                       어 곡식을 저장하고 군사교육을 실시했다. 아
                                                                과 호란을 겪으면서 독산성은 무향의 상징으
                       울러 성 안에 주택을 건설하여 주민들이 성에
                                                                로 널리 인식되었다. 이때부터 수원(현재의 화
                       들어와 살도록 지원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성과 오산을 포함한 지역)을 ‘무향(武鄕)’이라
                       독산성은 경기남부 지역에서 유일하게 방어시
                                                                부르기 시작했다.
                       설을 온전히 갖춘 산성으로 자리 잡아 병자호

                                                                                                  17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