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6 - 제2권
P. 506
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륭원이 조성되고 화성이 건설된 이후에 커다란 변화가 예고되었다.
9) 독산성에 나무를 심고 가꾸라
1798년 화산에 현륭원을 조성한 다음 정조는 현륭원과 독산성에 식목사업을 꾸준히 시행하도록 지
원하였다. 1792년 4월 4일, 정조는 현륭원과 독산성에 나무를 심도록 지시했다. 독산성의 식목은 절
충장군 이정은을 비롯한 30명의 장교가 담당했다. 이들은 한 차례 나무 심는 것을 감독했는데 이들에
게 각각 무명 1필과 쌀 4말을 지급했다. 정조는 “현륭원에 나무를 심으면서 기유년(1789)부터 올해까
지 8개 읍의 민력을 동원하여 다행히 완성하였으니, 그 일을 중히 여기는 도리로 볼 때 등급을 나누
어 공로를 기억하는 일을 어찌 늦출 수 있겠는가.”라며 식목사업에 참여한 관료들을 격려하고 시상했
다. 공로와 지위에 따라 승진을 시키거나 변장에 제수했으며, 품계를 더해주거나 마첩이나 표범 가죽
을 내려주기도 했다.
용주사의 승려들도 군대에 편입되고 식목사업에 참여했다. 정조는 현륭원에 나무를 심을 때의 비
용은 수원부의 재정으로 회계하고 8개 읍의 부역을 치르러 나온 백성에게 지급한 양곡도 대동미로
회계하도록 경기 감사와 선혜청에 분부했다. 이후 매년 마다 현륭원 주변과 독성산성에 나무를 심고
가꾸는 사업이 이루어졌다. 평상시 독산성의 임무는 원침 현륭원과 신도시를 보호하는 두 가지였다.
정조는 이러한 사실을 기록한 비문을 규장각 각신에게 짓도록 명하였다.
10) 정조 사후의 독산성
1800년, 정조의 죽음은 군사제도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1802년에 노론 벽파의 주도로 장용
영이 해체되었다. 이때 5천 명의 정예 병력이 상주하던 수원 화성과 독산성에 3초(약 360명)의 병력
만 남겨 두었다. 평양과 함께 가장 강력한 무력을 가진 도시로서의 화성과 독산성이 갖고 있던 군사
적 요새로서의 역할도 크게 축소되었다. 이제 독산성과 화성은 순조의 부왕 정조의 능-건릉과 현륭
원이 있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만 남게 되었다.
여러 번 언급되었듯이 화산에 사도세자의 묘소를 이장하면서 독산성은 현륭원과 화성을 호위하는
요새지로 구축되었다. 독산성에 종2품의 중군을 책임자로 임명하여 독산성의 전략적 역할을 강화했
던 것은 이런 정책의 일환이다. 그러나 1800년 장용영은 해체되고 화성에 주둔하던 장용영 외영의 병
력 5천 명에서 3초(369명)만 남겨 두었다. 독산성의 병력도 철수되었다.
1804년 김조순과 규장각 각신이 건릉과 현륭원 분묘의 상태를 살펴보는 봉심(奉審)에 참여하였다.
김조순이 순조에게 능원(陵園: 건릉과 현륭원)의 일을 조목별로 진달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독산
오산시사
성을 풍수적인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임진왜란 이후 200년 동안 군사적,
전략적 차원에서 관리되던 독산성은 이제 현륭원과 건릉을 모신 화산의 기운을 북돋우는 풍수 대상
제
2 이 되었던 것이다. 곧 ①독산성의 노적·양산 두 봉우리에 보토하는 것, ②독산성 서문 밖 양산의 여
권
러 산록에 늘어서 있는 백성들의 무덤을 물자를 보조해 주어 파서 옮기도록 하는 것, ③세람교에 나
무를 심는 것, ④독산성 남쪽에 암문을 설치하는 것, ⑤양산 동쪽 산록 및 독성 동문에 나무를 더 심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