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전시가이드 2025년 11월 E-book
P. 105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남궁연전 | 10. 24 – 11. 14                                                 김지원 개인전 | 10. 23 – 12. 20
            아프떼미갤러리 | T.031-775-1360          맹민섭 개인전 | 10. 29 – 11. 3             OCI미술관 | T.02-734-0440
                                                인사아트센터 | T.02-736-1020

                                     꽃과 별과 하늘, 맹민섭 작가의 화폭은 언제나 그가 좋아하는 것들로 가득
                                     차 있다 작품의 주제인 “Present”는 작가가 걸어온 삶의 여정을 은혜와 감
                                     사의 감성으로 되돌아보고 그것을 선물로 나누는 자리이다.



            자연의 서정성과 인간의 일상적 안온함                                                   맨드라미,  분수,  불꽃,  비행기…김지원
            을 담백하게 그려낸다. 푸른 정원과 고즈                                                 하면 떠오르는 것들이 있다. 터뜨릴 기회
            넉한 집이 어우러진 화면은 평화로운 삶                                                  를 기다리며 하나둘 쌓아 온, 그래서 평
            의 이상을 상징하며, 섬세한 필치와 따뜻                                                 소 쉽게 접하지 못한 색다른 작품이 200
            한 색감이 조화롭게 스며든다.                                                       평 전시장을 가득 메운다.
            원 테이블전 | 8. 6 – 11. 28                                                 한경우 개인전 | 10. 15 – 11. 8
            아르코미술관 | T.02-760-4602                                                 오에이오에이갤러리 | T.02-6207-3211






                                               아키아나전 | 11. 2 – 12. 7
                                              사랑아트갤러리 | T.02-3495-1000
            ‘프린지,  WWW’는  아르코예술기록원이                                                해수면 상승과 플라스틱 폐기물 등 기후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구축한 ‘서울프린     '아키아나'가 직접 질감과 깊이, 붓질을 더해 원화의 생생한 숨결을 담아 완    위기의 풍경을, 자신이 지속적으로 탐구
            지페스티벌 컬렉션’을 소개하기 위해 기    성한 지클리 작품을 선보이는 ‘예술을 통한 믿음의 여정’은 예술이 단순한      해온 ‘대칭’과 ‘반사’의 언어를 통해 주택
            획된 코너로, 기록을 통해 축제의 역사와   시각적 체험을 넘어 신앙과 영성의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가 지하 전시장이라는 장소 특정적 맥락
            예술정신을 전달하고자 한다.                                                        속에서 제시한다.
            김영수 개인전 | 11. 7 – 11. 13                                               꿈꾸는 모네뜰전 | 11. 12 - 11. 16
            어울림누리미술관 | T.031-960-9730                                              원주한지테마파크 기획전시실 | T.010-3226-2334









            나뭇가지 둥지 안에 독특한 시각적 긴장                                                  아름다운 상상과 사색에 잠겨 봄, 여름,
            감을 자아낸다. 자연물과 인공 색채의 대                                                 가을, 겨울의 뚜렷한 사계절처럼,
            비, 그리고 직선과 곡선이 혼합된 조형적                                                 각기 다른 감성과 느낌으로 그림 세계를
            실험을 통해 작가는 자연과 인공, 생명과                                                 표현한 이젤에 놓인 작품을 바라보며 우
            무생명 사이의 경계를 탐구한다.                                                      리들은 작은 미소를 지어본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최길수 홍수자전 | 10. 18 – 11. 30  여인영 개인전 | 10. 31 – 11. 13  임직순 개인전 | 11. 1 – 12. 5  김영산 개인전 | 11. 26 – 12. 2
            여미갤러리 | T.010-5267-7344  예술곳간 | T.0507-1431-1191  예화랑 | T.02-542-5543  인사아트프라자 | T.02-736-6347









            그림과 문학, 시각예술과 언어예술이 한  아프리카 대륙의 높고 험한 킬리만자로    임직순  작가의  '필촉(筆觸):  gesture'을  혹한의 겨울 끝자락에서 가장 먼저 피어
            공간에서 만난다.  최길수 작가의 회화와  의 산을 신혼여행으로 다녀오며 거두어   선보입니다.  1973년  파리  체류  시절의  나 삭풍의 침묵을 깨우고,  매화를 보기
            일러스트레이션은  일상의  소소한  감정  온 천연의 자연을 水墨드로잉으로 표현   스케치부터 1980년대 원숙기에 이른 작  위해  작가는  십수년간  한국의  고매(古
            을 시각화하며, 홍수자 작가의 책은 행   하고 있으며 마치 자개 조각의 빛과 같은  품까지, 색채의 마술사로 불린 작가의 변  梅)를  찾아다니며  탐매(探梅)한  매화에
            복을 발견하는 따뜻한 문장을 제시한다.   흑연의 빛으로 그려내고 있다.       화와 깊이를 느껴보자.            대한 사랑의 끝판이자 결과물이다.



                                                                                                      103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