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1 - 전시가이드 2025년 11월 E-book
P. 101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세대를 잇는 칠보 빛_김아연전 | 10. 10 – 11. 28                                     다원예술-숲전 | 5. 23 – 26. 1. 25
            광주지방법원목포지원로비 | T.061-284-7887    우석용 개인전 | 11. 1 – 11. 29              국립현대미술서울관 | T.02-3701-9500
                                                파파카페 | T.010-7221-9134

                                     우석용 작가는 포너아티스트로 길을 걷다가도 시상이 떠오르면 글을 써내
                                     려간다. 늘 새로운 장르에 도전하는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욕망과 권태’라
                                     는 주제로 적퓸울 선보인다..



            칠보에 진심을 다해 온 어머니께서는 전                                                  올해 MMCA 다원예술《숲》은 인간활동
            문적인 기술뿐 아니라 작가로서의 세계                                                   이 지구 환경을 바꾸는 인류 새 시대에
            를 세우고 작품을 다듬어 가는 과정까지                                                  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질문을 던
            몸소 보여주셨다. 그 길을 본받아 한 땀                                                 지고, 인간과 숲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한 땀 담아내었다.                                                             탐구하는 프로젝트이다.
            봄, 여름, 가을,겨울전 | 10. 1 – 26. 8. 30                                      돌아온 미래전 | 8. 7 – 26. 7. 31
            국립민속박물관 | T.02-3704-3126                                               국립현대미술관청주 | T.043-261-1457






                                            이철형 개인전 | 11.  | 12 – 11. 17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 T.02-736-6347
            기후변화는 식물과 동물의 생활사 주기                                                   미술은행 20주년 특별전 《돌아온 미래:
            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기후 위기 속   작품 속 불완전한 균형과 예측 불가능한 구성은, 우리가 살아가는 감정의       형태와 생각의 발현》은  20년의 역사를
            에서 한국의 사계절을 중심으로, 적응해    리듬을 표현하며 익숙함을 벗어난 형상들은 관람자의 내면에 더 깊이 스며       되짚어보고, 그동안 수집해온 주요 작품
            가는  인간과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는   들며, 개개인의 경험과 상상에 따라 다층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들과 끊임없는 미술적 실험의 결과물을
            동·식물들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자리이다.
            PAN-DA-JI전 | 5. 27 – 11. 16                                            모던아트협회 1957-1960전 | 10. 2 – 26. 3. 8
            국립민속파주수장고 | T.031-580-5814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 T.043-261-1453









            겉모습은 수많은 나비 장석으로 장식된                                                   1957년 박고석, 유영국, 이규상, 한묵, 황
            한국의 아름다운 전통 반닫이지만, 상판                                                  염수를  중심으로  결성된  모던아트협회
            을 내리면 책상이 되고 하단부를 열면 3                                                 는 “현대회화의 문제”를 공통의 기조로
            단 서랍장으로 구성되어 있어 서양식 가                                                  사실주의와  앵포르멜의  급진성을  넘어
            구의 실용성이 담겨 있다.                                                         서는 ‘제3의 길’을 모색하고자 했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두 발로 세계를 제패하다전 | 7. 25 – 12. 28  수련과 샹들리에전 | 10. 2 – 27. 1. 3  향수, 고향을 그리다전 | 8. 14 – 11. 9  박정재 개인전 | 11. 4 – 11. 8
            국립중앙박물관 상설관 | T.02-2077-9000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T.02-2188-6000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 T.02-2022-0600  군포커뮤니티갤러리홀 | T.010-7597-7250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조국을 가슴  이건희컬렉션 16점과 국내 최초 미술품  일제강점기와  광복,  분단과  전쟁,  그리  박정재 작가의 작품은 따스한 서정과 유
            에 품고 달렸던 손기정 선수와 그의 발자  물납제를 통해 소장된 중국 현대미술의  고 산업화, 도시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인   머가 공존하는 독창적 세계를 펼쳐 보인
            취를 따라 세계 무대에서 활약한 제자들   대표작가 쩡판즈의 <초상>(2007) 2점을  들의 마음속에 간직해온 ‘고향’의 정서를  다. 거대한 인물의 곡선 위로 피어난 꽃
            의 이야기와 1988년 서울에서 성화를 봉  포함하여 해외 거장 33명의 국제미술 소  한국 근현대 풍경화와 시, 망명 가사 등  밭과 아기자기한 인물들의 일상은 마치
            송했던 감동의 순간들을 담았다.       장품 44점을 엄선하여 조망한다.     을 통해 짚어본다.              꿈속의 마을을 연상시킨다.



                                                                                                       99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