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전시가이드 2025년 11월 E-book
P. 104
영원히 교차하는 춤전 | 8. 13 – 26. 12. 31 김은 개인전 | 10. 22 – 11. 9
서울시립서소문본관 | T.02-2124-8926 권숙자 개인전 | 10. 1 – 11. 15 아트뮤지엄려 | T.031-881-9764
권숙자안젤리미술관 | T.031-323-1968
나의 그림 인생은 우망시대, 청덕시대,묵리시대를 거치면서 화폭에 옮겨지
는 모든 인간과 사물은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번 전시는 안젤리 성에서 만
나는 아름다움과 그리움 애달픈 것들을 화폭에 담아 보는 기회이다.
감각·참여·공공성이 맞물리는 이번 김은은 작업 속에서 한지를 찢고, 태우
SeMA 공용공간 프로젝트는 일상 속 잉 고, 그리고 던진다. 이 던지는 행위는 단
여 공간에 대한 인식 전환과 예술 체험 순한 제스처가 아니라, 통제와 해방 사이
의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하며 공공미술 의 감정의 파동을 물질로 번역하는 신체
의 또 다른 방안을 제안한다. 적 언어이다.
남중연 개인전 | 11. 3 – 11. 7 엄태정 조각전 | 10. 14 – 11. 30
서초문화예술회관 | T.010-5228-5884 아트스퀘어 | T.031-290-4602
박소은 개인전 | 11. 5 – 11. 10
갤러리인사아트 | T.02-734-1333
하루가 25시간 이었으면 하는 내 젊은날 작가의 조각 작품은 강렬한 형태미와 구
작가는 자신이 그림 속의 인물로 전이되어 등장한다. 아름답고 젊은 여자
이 있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이었 조적 긴장을 통해 공간의 역동성을 드러
의 매력적인 얼굴, 우리의 전통적인 의복인 한복을 정갈하게 차려입고 자
다. 오늘은 다가오는 날중 나의 가장 젊 낸다. 검은 금속 덩어리가 얽히고 맞물리
연 안에서 고요한 어느 시간을 한가히 거니는 장면을 연출해내는 자신의
은날~~ 나의 식지않는 열정으로 내 가진 며 생성된 유기적 리듬은 질서와 혼돈,
일상을 환영적으로 보여준다.
모든것 쏟아낸다. 무게와 균형의 경계를 탐색한다.
안복순 추상전 | 11. 21 – 11. 30 이윤진 초대전 | 10. 30 – 11. 11
성남아트센터전시실 | T.031-783-8000 아트스페이스퀄리아 | T.02-379-4648
안복순 작가는 ‘Connectivity’라는 주제 《일상의 기록》-‘감정덩어리’라 부르는
로 녹색과 강렬한 붉은색이 어우러진 추 형상들은 돌처럼 응집된 채 화면 속에 자
상화로 화면 가득 펼쳐진 색의 리듬은 숲 리하지만, 추상적이고 비정형적인 상태
의 움직임처럼 유기적이며, 붓질의 중첩 로 존재하는 나의 내면에 쌓인 감정과 기
은 감정의 진동을 시각화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억의 덩어리들이다.
그림 속의 그림전 | 10. 24 – 12. 21 조각이 꿈+틀전 | 9. 26 – 26. 2. 8 정태현 개인전 | 11. 4 – 11. 9 남궁혜영전 | 10. 24 – 11. 14
성남큐브미술관 | T.031-783-8149 소마미술관 | T.02-425-1077 아트로직 스페이스 | T.02-735-7955 아프떼미갤러리 | T.031-775-1360
정보영 작가의 ‘그림 속의 그림’이라는 작품 속 조형적 요소를 담은 공간을 돌아 꽃은 피어나는 순간 완성되지 않는다. 자연과 생명의 순환을 상징적으로 풀어
주제로 신작 및 대표작 30여 점을 통해 다니며 자연스레 작품의 주제를 느낄 수 봄의 생명력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듯, 은 낸다. 화면 중앙의 사슴은 순수함과 생명
작가의 예술세계를 조명하며 작가의 첫 있는 체험형 전시로 어려울 수 있는 현 은한 색채와 겹겹의 질감이 어우러져 서 의 영속성을 상징하며, 녹색과 청색의 겹
개인전 발표작인 ‘벨라스케의 아틀리에’ 대조각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 정적 감성을 자아낸다. 자연의 순환과 생 겹이 쌓인 색면은 생태적 에너지가 흐르
가 25년 만에 재공개된다. 록 유도한다. 명의 맥박이 빛처럼 번져나간다. 는 듯한 공간을 형성한다.
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