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2 - 전시가이드 2025년 11월 E-book
P. 102

2025 ON BOARDING전 | 10. 16 – 11. 9                                     김우진 디아프 | 11. 13 – 1. 16
        금호미술관 | T.02-720-5114       기평 손영락_HERITAGE전 | 10. 21 – 11. 11         대전컨벤션센터 | T.042-250-1100
                                        Cafe 바실라별관(경주) | T.010-9333-8834

                                 손영락 작가는 경주의 자연과 인공문화유산을 주제로 수묵과 채색을 아우
                                 른 3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그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고도의 문
                                 화적 흔적을 현대인의 시각에서 재해석해 전통과 현재가 교차하는 미학을
                                 구현한다.

        신진작가들은  시대를  관통하는  동시대                                                 그는 어린 시절 꿈이었던 동물 사육사를
        적 내용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 짧은                                                 주제로, 스테인리스 오브제를 활용해 자
        호흡으로 전시를 위한 작품을 제작하기                                                   신이 키우고 싶었던 동물들을 재현한다.
        보다, 주제, 매체, 형식 등 그들이 관심이                                               그의 조각은 단순한 외형적 재현이 아니
        있는 분야를 탐색하였다.                                                          라 정서적 재현에 집중한다.
        창남 개인전 | 11. 13 – 11. 23                                               홍빚나 디아프 | 11. 13 – 1. 16
        금호미술관 | T.02-720-5114                                                  대전컨벤션센터 | T.042-250-1100






                                          최윤정 개인전 | 11. 5 – 11. 10
                                            갤러리라메르 | T.02-730-5454
        작가의 작품은 자연의 색과 질감을 추상                                                  변화와 흐름 속에서 나타나는 미묘한 질
        적으로 재해석한다. 수평의 색 띠가 만들   그림을 그리며 쉼을 얻고, 감사와 기쁨을 배웠다. 작은 꽃 한 송이, 잎 새 하  서와 자유로움을 표현한다. 그녀의 작품
        어내는 리듬감은 바다와 하늘, 모래의 경   나에도 새 생명의 이야기가 담겨 있고, 심지어 작은 돌멩이 하나에도 긴 역     은 따뜻한 감성과 서정적 아름다움을 지
        계를 은유하며, 현실과 추상의 조화로운    사가 있음을 느낀다.                                   니며, 관객이 작품과 마주하며 자신만의
        공존을 보여준다.                                                              이야기를 발견하도록 이끈다.
        백연수 개인전 | 8. 29 – 11. 2                                                차연서, 허지은전 | 10. 22 – 12. 13
        김종영미술관 | T.02-3217-6484                                                두산갤러리 | T.02-708-5050









        백연수  작가의  이번  전시는  현재  목조                                              《sent in spun found》는 차연서와 허지
        와 관련해 새롭게 모색하는 ‘화두’를 풀                                                 은이 각자의 사적인 경험에서 비롯된 가
        어 선보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전시 공                                                  족, 종교, 사회적 현상과 그로부터 일어
        간을 마치 영화의 장면전환 기법인 ‘오버                                                 나는 정동을 독자적인 태도와 시각 언어
        랩’ 방식으로 기획했다.                                                          로 이야기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김은희 개인전 | 10. 29 – 11. 11  입주예술가 결과보고전 | 10. 30 – 11. 9  엄길자 K-아트페어 | 11. 13 – 11. 16  인주리 개인전 | 10. 16 – 11. 14
        다다갤러리 | T.0507-1442-5042  대전예술가의 집 | T.042-480-1032  대전컨벤션센터 | T.02-722-9655(NoB17)  레이블갤러리 | T.02-2272-0662









        김은희 작가는 전통 채색의 결, 여백의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12기  입주예술   작가의 회화는 고통의 심연을 통과한 자   아버지가 떠난 후로 아버지가 쓴 일기,
        호흡, 빛의 미세한 변주를 움직임으로 전  가 8인의 개별 전시로 구성된 결과보고  만이 도달할 수 있는 맑은 명상과도 같   아버지가 수집한 책, 아버지가 기대곤 했
        환한다. 화면에 머물던 시간은 영상에서  전으로  통합 구성으로 운영되며 서로 다  다. 매화의 화폭은 단지 봄의 풍경이 아  던 벽에 남은 흔적 등을 기록하는 작업
        흐름이 되고, 그 흐름은 관람자 각자의  른 예술적 접근과 감각이 하나의 흐름 안  니라, 생의 회복과 존재의 근원을 향한  을 지속해왔다.이번 전시는‘아버지의 책'
        기억과 감각을 깨운다             에서 독립적으로 전개된다.         예술가의 응답이다.              에 주목한 작업들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100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