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전시가이드 2023년 09월 이북
P. 36
이주연 컬럼
이재형 작가의 Face of City
도시인들의 실시간 소셜 미디어 정보를 표정으로 데이터 시각화
하여 집단 감성을 전하다
글 : 이주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Face of City_실시간 인터랙티브 시스템, 싱글 채널 비디오_가변 설치_2015년 작 Face of City의 다른 표정
지역의 감성을 얼굴 표정으로 보여주려 계획한 프로젝트로
도시가 가지는 실시간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근거로 그 지역의 SNS 데이터를 활용했다.
초기에는 정확한 정보를 상징하는 뉴스나 기사를 활용했지만,
더 일반적이면서 시민들의 직접적인 감성을 표현하기에 소셜 데이터가 더 의미 있을 것이라고 판단해서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SNS 데이터들을 감성 표현의 근거로 사용하였다.
이재형 작가의 ‘Face of City’(2015)에서 연상된 것은 Asif Khan(영국/1979-) 인터랙션은 Jaume Plensa(스페인/1955-)의 ‘Crown Fontain’(2004)의 인터
(w/iart)의 RGB-LED media facade 작업인 ‘MegaFaces’(2014)였다. Khan 랙션과 유사하다. 이와 달리 ‘Face of City’에서는 분명 인터랙션이 이루어지
이 관객의 얼굴을 스캔하여 픽셀로 데이터 시각화했다면 이재형 작가는 도시 지만, 보다 주목할 것은 언어라는 정보가 표정으로 데이터 시각화한다는 점이
인들의 실시간 소셜 미디어 정보를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표정으로 변환했다 다. 개인적으로 동시대 미술 중 미디어 아트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인터
는 점이 다르다. 미디어 아트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소통과 참여의 개념은 랙티비티에 주목하는데, 작가마다 소통과 참여의 접근 방법이 다양해서 보다
관객의 개입 여부에 따라 인터랙션에 차이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는 미디어 다양한 관점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를 감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아트 작가의 작업에 초대된 관객은 작품에 예고된 수행 방식에 의해 개입하게 이재형 작가와의 인터뷰 내용이다.
됨으로써 작가의 계획 하에 인터랙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MegaFaces’의
34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