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사회돋보기)노규수 컬럼집-본문(최종)_Neat
P. 87

4.19혁명에 생각하는 홍익인간 정신




















                  역사학자 강만길 교수는 1960년에 일어난 4.19혁명을 4.19운동이라 부른다.

                그가 쓴 『20세기 우리 역사』에 따르면 ‘사회혁명’이란 피지배계급이 지배계급으

                로부터 국가권력을 탈취하여 스스로 권력을 장악한 후 새로운 경제체제를 수립
                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4.19혁명의 주체 세력은 그렇지 않았다. 청년, 학생층,

                지식인층, 도시 빈민이 중심이 되어 이승만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와 독재체제

                에 항거하여 정권을 무너뜨리는 데는 성공했으나 스스로 권력을 쥐어 팔에 완장

                을 차고 사회개혁을 단행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혁명이라 부르는 데는 부적합

                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4.19혁명’이라 말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현존하는

                한국의 대역사가가 ‘4.19운동’이라고 말한다면 그것이 바로 정답일 수 있지만,

                그래도 많은 사람들과 역사서가 4.19혁명이라고 부르는 것은 아마도 ‘혁명’이라

                는 단어에서 느낄 수 있는 통쾌함 때문일 것이다.

                  과학사가 전공인 박성래 교수는 월간중앙 2005년 4월호에 쓴 「과학자의 진
                실」에서 영어 레볼루션(Revolution)이라는 단어의 뜻, 즉 ‘혁명’이라는 단어의 어원





                                                                            87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