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6 - (사회돋보기)노규수 컬럼집-본문(최종)_Neat
P. 96

자본주의시스템이라면 돈과 권력의 지배를 벗어날 수 없으니 동양적 도덕관인

               유교(儒敎) 이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경제 원리에 적용시키자는 말이다. 하지

               만 공맹사상이 주류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유교이념은 이미 이조 500년간
               의 통치경험에서 실리(實利)가 명분(名分)에 지배당할 수밖에 없었던 실패한 시스

               템이라는 지적이 만만치 않았다.

                 나는 기독교 문명인 서양이나 유교 문명인 동양의 공동체주의가 갖고 있는 장

               점을 한국경제의 개선안으로 흡수하자는 데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하는 사람이
               다. 하지만 우리 한국의 홍익인간(弘益人間) 정신이 이들을 대부분 포괄적으로 수

               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홍익인본주의를 더 강조하고 있다.

                 인본주의의 개념은 종교적 율법주의에서 벗어나려는 르네상스 시대의 자유

               주의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홍익인본주의는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공동체

               주의적인’ 홍익인간 정신에 자유주의 사상을 ‘어울림 정신’으로 융화시키는 작
               업이다. 그래서 ‘경제’라는 틀에서 과감히 벗어나 자본으로부터의 자유, 계급으

               로부터의 자유, 죄악으로부터의 자유, 고독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고 있다.

                 그 어울림의 배경은 인권(人權)과 평등(平等)이다. 대기업 간부가 돈과 권력이 없

               었다면 과연 일반적인 서비스 요구 수준을 벗어나 항공기 여승무원을 종처럼 부
               리고 폭행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었을까. 정말 그 사건이 사실이고, 그 간부가

               정신질환자가 아니라면, 그것은 현대 자본주의가 빚어낸 항공기 테러다. 말로만

               홍익인간 정신을 우리나라 교육법 제2조에 넣지 말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학생

               들에게 강조해나갈 것을 교육 당국에 강력히 주문한다.

                                                                 (2013. 04. 23)







             96 노규수의 사회 돋보기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