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월간사진 2017년 8월호 Monthly Photography Aug 2017
P. 31
(046-049)칼럼1_최종OK_월간사진 2017-07-20 오후 2:02 페이지 047
01 02 03
01 래리 클락 『털사(Tulsa)』 (1963-71) 표지 02 래리 클락, Untitled, 1971 © Larry Clark and Luhring Augustine 03 조디 포스터를 모델로 했던 앤디 워홀의 『인터뷰』 매거진. 1977년 1월
가 다루고 있는 비행 청소년들의 모습 그 자체가 충격적이기도 하였지만, 무엇보다도 작 사회적인 통념을 가장 잘 드러내는 일종의 기호로 보기 시작했다. 자연스럽게 개인의 창작
가가 그들 중의 하나였다는 사실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히피를 비롯하여 각종 반체제 물이 아닌 대중매체, 사진기와 사진의 유통을 둘러싼 사회적, 철학적 담론이 사진비평의
와 하위문화, 공동생활 집단들이 생겨난 1960년대, 이들을 타자화해서 다루는 것이 아 주요 소재로 떠올랐다. 1970년대 미술대학의 교육을 받고 자라난 셔먼을 비롯한 픽쳐스
닌 ‘생동감 있게(Immersive) 밀착 취재하는 저널리즘,’ 혹은 스페인어로부터 유래한 ‘곤 세대(Pictures, 더글러스 크림프[Douglas Crimp]의 유명한 전시제목)가 자신의 영감에 기
조(Gonzo) 저널리즘’이라는 용어가 통용되기 시작하였다. 『털사(Tulsa)』에서 허공을 반을 둔 것이 아닌 대중소비문화의 파편에 해당하는 잡지의 유명인, 영화, 각종 로고 등을
2)
응시하거나 눈에 초점이 사라진 채 총을 들고 어딘가를 바라보거나 직접 주삿바늘을 자 인용한 것도 이러한 사진비평과 교육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4)
신의 팔에 꽂는 청소년들은 사진작가의 고향친구들이다. 초점이 나갈 만큼 근접 촬영되 신디 셔먼은 사진을 찍기보다는 사진을 위한 장면을 대중소비문화의 파편들로부터 골라
3)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카메라의 존재를 전혀 개의치 않는다. 낸 뒤 그 장면을 모방하고 연기하며 기록해내는 연출가에 가깝다. <무제 시리즈(Unti-
이처럼 1960-70년대 다큐멘터리 사진은 고전적인 다큐멘터리 사진가들이 최선으로 여 tled)>(1979-1980)에서 셔먼은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히치콕의 고전, 1950년
겨온 극적이고 결정적인 순간과 앵글을 부정했다. 더 나아가서는 취재 대상과의 중립적 대 필름 느와르, 1960년대 스파게티웨스턴의 장면과 여성 캐릭터들을 차용했다. 흐트러
인 거리감마저 배제했다. 그 대신 대상과의 친밀성을 강조했다. 예술과 일상, 사진찍기와 진 매무새로 창밖을 바라보는 여성의 이미지는 서구영화의 변종에 해당하는 스파게티웨
삶의 경계를 허물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즉흥성이 강조되었고, 스냅샷의 미학이 전문사 스턴에서 길을 떠난 남자 주인공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정형화된 자연풍경 속 타자의 모
진작가들에 의하여 선호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사진이 1960년대 이후 현대미술의 중 습이다. 이에 반하여 정갈하게 차려입은 여성의 모습은 히치콕의 고전에서 남자 주인공
요한 변화를 반영하기 시작한 첫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을 교란시키는, 겉과 속이 다른 여자 주인공을 연상시키킨다. 그러나 바바라 노박, 그레
이스 켈리, 브리지 바르도 등 당대 주요 여배우를 연기하는 셔먼의 연기가 어색한 탓에 관
개념적인 사진의 등장과 기호학적 사진비평 객은 사진 속 풍경이 만들어진 것임을 인지하게 된다. 나아가서 한사코 누군가를 연기하
인물을 다룬 초상사진의 역사와 현대미술의 접점에서 신디 셔먼(Cindy Sherman)을 건너 고 있는 작가의 자화상을 보면서 과연 초상사진이 일관된 개인의 정체성을 투영할 수 있
뛰고 이야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론, 그녀가 기술적으로 성숙한 사진작가인지 아닌지 을지에 대하여 반문하게 된다.
는 여전히 논쟁거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셔먼은 1980년대 이후 ‘개념적인 사진’이라는 이처럼 셔먼을 포함한 픽쳐 세대는 ‘사진이 사실의 반영이며 초상화는 대상의 내적 상태
모호한 용어가 사용되게 된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이와 함께 1970년 나 정체성을 반영하는 효과적인 매체’라는 신념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반면, 1990년대
대 초부터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던 사진비평, 사진교육의 변화 또한 중요한 역사적 배경이 들어 필립-로르카 디코르시아(Philip-Lorca Dicorcia), 그레고리 크루드슨(Gregory
다. 1970년대 초 기호학, 1960년대 프랑스 비판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대중문화, 사 Crewdson), 더그 스턴(Doug Stern), 제프 월(Jeff Wall)의 사진은 대중소비문화나 기존
진 비평서들이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영국과 미국의 개념미술 작가와 비평가들은 사진을 의 잘 알려진 이미지들로부터 출발하기는 하지만 이미지나 배경의 출처를 정확히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