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2019년01월전시가이드
P. 42
이강윤 초대전 | 18. 11. 213 - 1. 31 오인섭 초대전 | 1. 8 - 1. 26 박은용 전 | 18. 12. 6 - 2. 10 행복한 돼지 특별전 | 18. 12. 19 - 3. 1
갤러리JOY | T.051-746-5030 경주라우갤러리 | T.054-772-9556 광주시립미술관 | T.062-613-7142 국립민속박물관 | T.02-3704-3126
농장의 막내아들로 태어난 그는 자연스 우리 삶의 형상과 소멸, 생겨나는 것과 적묵법은 먹을 중첩시킴으로써 갈필의 돼지는 십이지신(十二支神)중 열두 번
럽게 동물들과 벗하며 자연과 교감하는 사라지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분명 흔적이 겹쳐지도록 고도의 세필을 운용 째로, 방향으로는 북서북, 시간으로는
계기가 되었고, 유년의 이런 경험의 세계 우리의 삶이었으나 꿈결처럼 먼 곳에 존 하는 화법으로,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 21~23시를 상징한다. 또한, 잡귀(雜鬼)
와 전원 속 사유의 공간은 지금까지 그를 재하는 기억들. 그러한 기억들은 또 다른 자의 미세 균열 또는 화강암의 석질과 같 를 몰아내는 신장(神將)이면서 동시에
지탱하는 창조의 에너지가 되었다. 기억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은 미감을 전해준다. 우리 인간과 가까운 친구이다.
이규원 전 | 18. 12. 13 - 1. 9 베르나르 포콩전 | 1. 10 - 2. 24 현미 개인전 | 18. 12. 15 - 1. 4 아카이브 만들기 특별전 | 18. 12. 5 - 3. 11
갤러리초이 | T.02-323-4900 공근혜갤러리 | T.02-738-7776 구올담갤러리 | T.032-528-6030 국립민속박물관 | T.02-3704-3126
작가가 작업한 ‘Wallets’ 시리즈를 처음 70세를 앞둔 작가의 회고적 자서전 “나 계속적으로 도시가 생겨나고 있다. 도시 국립민속박물관은 백 만점 이상의 자료
으로 선보이게 되며, 이 시리즈가 어떻게 의 길” 의 한국어 출판과 함께 비디오 영 가 생성되는 주변장소에서 벌어지고 있 를 수집하여 소장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
구상되어 왔는지 작가의 지난 작품들과 상 작품, 그리고 영화 속 배경이 된 프랑 는 상황을 통하여 장소가 가지고 있던 고 은 ‘수집광(蒐集狂)’, ‘수집가(蒐集家)와
조우하며 그 자취를 따라가 볼 수 있는 스, 페루, 태국, 볼리비아의 아름다운 길 유한 장소성을 표현하고, 그로 인해 파생 축적 자료’, ‘자료 갈무리’, ‘라키비움’ 등
기획과 함께 선보이게 된다. 을 담은 30여 점이 소개된다. 되는 모습에 주목하고자 한다. 총 4부로 구성하였다.
生生化化전 | 18. 12. 11 - 3. 10 최은혜 개인전 | 18. 12. 12 - 1. 25 세조(世祖)전 | 10. 22 - 19. 1. 13 황금인간의 땅, 카자흐스탄전 | 18. 11. 27 - 2. 24
경기도미술관 | T.031-481-7000 021갤러리 | T.053-743-0217 국립고궁박물관 | T.02-3701-7500 국립중앙박물관 | T.02-2077-9000
경기도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작가 작가는 감각이 수집한 순간적이고 유동 2016년 한 국내 경매에 김은호의 그림과 2009년 ‘동서 문명의 십자로-우즈베키
들로 회화, 사진, 영상, 설치 등의 매체를 적인 것과, 실재하는 것 사이에서 발생하 초본들이 대규모로 출품됐다. 초본들은 스탄의 고대 문화’에 이어 西투르키스탄
이용해 개인적인 관심사부터 현대사회 는 유기적인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두 세 김은호 선생이 보관해오던 것들. 그중 가 특별전으로,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
의 구조까지 폭넓은 주제로 현대미술의 계의 끊임없는 교감을 빛과 그림자를 통 장 주목받은 것은 완성본이 남아 있지 않 르기까지 카자흐스탄의 역사와 문화를
경계를 탐구하는 작업들을 만날 수 있다. 해 시각화한다. 은 세조 어진의 초본이었다. 대표하는 전시품을 선보인다.
예술을 쓰다, 책을 그리다전 | 18. 11. 21 - 1. 29 구본주 전 | 18. 11. 23 - 1. 20 학문으로 대를 잇다전 | 18. 7. 16 - 4. 23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대고려전 | 18. 12. 4 - 3. 3
경북대미술관 | T.053-950-7968 교보아트스페이스 | T.02-397-3402 국립민속박물관 | T.02-3704-3126 국립중앙박물관 | T.02-2077-9000
1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책은 오랫 작가는 '브론즈, 철, 나무, 흙' 등의 재료 전주류씨는 마을마다 문중 훈장을 두어 이번 전시는 고려(918~1392)와 동시
동안 인류와 함께 해왔다. 매체와 기술의 를 자유자재로 사용해왔다. 재료에 대한 집안의 학문과 퇴계학을 계승하고 세대 대에 존재했던 송나라(960~1279), 원
발달로 우리가 알던 기존의 책의 형태는 연구를 바탕으로, 마치 '숨을 쉬고 있는 별로 문집을 발간하는 한편, 성리학·예 (1260~1368), 일본 열도의 카마쿠라 막
소멸할 수 있으나, 그 안에 담긴 콘텐츠 것 같다!'는 인상이 들만큼 사실적인 조 학·천문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 부(1185~1333)의 공통된 유물을 비교
의 가치는 영원하다. 각을 완성했다. 을 연구하여 퇴계학의 일가를 이루었다. 감상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