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2022년 02월 전시가이드
P. 45

금성관 내부 단청


























































                                                    집옥재 천장                            집옥재 실내 단청과 만월창



            창살무늬도 다른 전각과 다른 중국풍이다. 우리나라의 창살무늬는 기하학적         卦)를 꾸며서 궁궐의 일반적인 반자와는 사뭇 다르다. 그리고 종다라니로 꾸
            인 띠살무늬, 빗살무늬, 격자살무늬와 화려한 꽃살무늬가 있다. 집옥재의 창       민 우물반자에는 팔엽 중판 연화무늬로 단청을 하였다.
            살은 기하학적인 문자의 모양을 본뜬 만자(卍字)무늬로 꾸미고 모두 뇌록으로
            채색하였다. 복도처럼 실내를 관통한 긴 방의 뒷벽에는 둥근 보름달 모양의 만      이런 집옥재였지만 머지않아 고종의 관심 밖으로 멀어졌다.
            월창(滿月窓)이 설치되어 있다. 만월창의 둥근 원형과 창살이 교차하여 만든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을 겪은 고종은 경복궁을 버리고 1896년 러시아 공
            삼각형, 사각형 공간의 시각적 느낌은 언제 보아도 명작에 손색이 없을 정도       사관으로 피신하는 아관파천을 감행하고 그 후 1년 뒤 덕수궁으로 환궁했는
            이다. 창살과 창살 사이의 공간에 오방색을 칠했다고 상상해 보면 신조형주의       데 이후 이곳에서 계속 머물렀기 때문일 것이다.
            (Neo-Plasticism)를 선도한 몬드리안(Pieter Mondriaan, 1872~1944)의 컴
            포지션(Composition)을 능가하지 않을까?                     집옥재의 건립은 조선 말기 급변하는 국제 정세의 격랑 속에서 새로운 건축
                                                            양식을 절충하여 선진 문물을 수용하고 근대화의 길로 나아가려고 시도한 일
            팔우정은 팔각형의 건물로서 사방이 유리창으로 둘러싸여 있다. 유리창은 기        부분일 수도 있다. 하지만 집옥재를 짓고 나서 1년 후인 1882년(고종 19) 임
            존의 종이를 붙인 창호보다 채광과 보온 면에서 월등히 효과가 좋아서 실내        오군란과 1884년(고종21) 갑신정변 이후 세차게 몰아치는 청나라와 일본, 서
            는 밝고 아늑한 구조이다. 천장은 팔각형의 귀접이 천장으로 조성됐다. 즉 건      구 열강의 각축에 갈피를 못잡고 궁궐의 가장 깊은 곳, 국왕이 개인적인 용도
            물이 팔각 구조이다 보니 천장도 큰 팔각형 안에 우물반자를 넣고, 중앙에 다      로 쓰는 사적 공간에서 조차도 전전긍긍하였던 약소국의 비애를 느끼게 하
            시 팔각형을 끼워 넣은 형태이다. 팔각형 틀 안에 태극문과 그 둘레에 팔괘(八     는 장소이기도 하다.


                                                                                                       43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