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 전시가이드 2021년 06월 이북
P. 53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유명수 초대전 | 6. 3 – 6. 27 드로잉 너머전 | 3. 25 – 8. 27
소나무갤러리 | T.053-423-1186 문창진 개인전 | 5. 10 – 7. 30 숙명여대문신미술관 | T.02-2077-7052
식품의약품안전처아트라운지 | T. 043-719-1225
그는 숲을 무지개선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화면을 숲과 땅의 두개 면으로
분할하여 수직선으로 운동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다시 그 위에 색을 반복
해서 입히는 실험적 조형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관념적인 풍경화에 머무르지 않고 현장 김지혜는 추상화한 자연 이미지들을 스
에서 빛, 색상을 연구하며 작가의 주관과 테인드 글라스 기법과 빛과 공간을 활용
감성을 중시하며, 전통 풍경 속에서 어떻 하여 조형작업을 한다. 이수진은 현대사
게 현대성을 확보할 것인가의 문제를 화 회에서 버려진 것들을 수집하여 전시장
두로 삼아 작업하고 있다. 안에 공동체를 구성한다.
김덕기 개인전 | 3. 12 – 6. 16 조현애 초대전 | 6. 10 – 7. 11
소울아트스페이스 | T.051-731-5878 쉐마미술관 | T.043-221-3269
최애란 개인전 | 5. 27 – 6. 2
이공갤러리 | T.042-242-2020
평범한 일상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세심 조현애의 회화는 10여 년 전까지는 모더
하고 긍정적인 에너지가 묻어있다. 그의 마음이 위로 받는 곳, 생명이 가득한 그곳은 고슴도치에게 조건과 모습을 니즘의 추상미술의 범주에 머물러있었
그림을 보면 사진첩을 열어 행복했던 순 떠나 꿈을 찾고 위로받는 공간이 된다. 늦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나(我)를 다, 그러나 평면에 대한 이해와 ‘빈 공간’
간을 회상하듯 잠시 잊고 지낸 감정과 기 찾아 나서는 ‘우리’가 되었으면 한다. 을 인식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억이 신기루처럼 뒤섞인다. 새로운 작품으로 탈바꿈하였다.
강민숙 개인전 | 5. 13 – 6. 16 이다연 개인전 | 5. 11 – 6. 5
송은 아트큐브 | T.02-3448-0100 스펙트럼갤러리 | T.02-6397-2212
유난히 컸던 창문을 바라보며 안과 밖을 작가는 모세의 기적인 ‘만나’가 이스라엘
기록했던 그의 시간을 체험하게 하고, 같 백성에게 반복적으로 일어났을 때 기적
은 시기에 휴대전화로 찍은 이미지들이 마저도 그 의미를 상실한다는 점을 발견
얇은 천에 인쇄되어 납작한 풍경으로 당 한다. 우리의 일상이 MANNA (만나)이
시의 감각을 옮겨놓는다. 며 그 안에서 기적의 모습을 찾는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이겨레 개인전 | 5. 14 – 6. 13 모두의 정원전 | 3. 16 – 8. 14 거대한 안,녕전 | 5. 13 – 7. 11 13 번째 망설임전 | 4. 13 – 22. 3. 27
수애뇨339 | T.02-379-2970 수원어린이생태미술체험관 | T.031-228-4113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 T.031-228-3800 아라리오갤러리천안 | T.041-551-5100
나는 선천성 유아 백내장 수술 이후 시각 코로나19로 지친 일상에 나만의 정원을 가족, 이웃과의 만남도 멈추고 뉴노멀이 30-40대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함
적으로 뚜렷하지 않게 보이는 대상을 지 창작해 보는 관람객 참여형 전시로 전주 라는 이름으로 당연시되던 것들이 당연 으로써 작가들의 눈으로 본 현실의 다양
각하는 방식이 한 장소나 사건을 바라보 연, 최성임 작가는 자연이 우리에게 전해 하지 않게 된 현재, 삶의 본질인 “우리가 한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 실패에 대해
는 관점에도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는 소중함과 다양한 의미를 퍼포먼스 잘 살고 있는가?”, “잘 산다는 것은 무엇 망설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의 메시
고 가정하게 되었다. 와 설치 작업으로 풀어낸다. 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지를 전하고자 한다.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