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전시가이드 2021년 07월 이북
P. 40

김재덕 컬럼









































                     김영재시조 내안의 당신. 신상희




         天, 地, 人 삼재의 한글미학                               수 없는 확연한 차이가 있기 때문 이다. 1997년 10월1일엔 유네스코에서 우리
                                                        나라 훈민정음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하지만, 세계가 인정
        서예가  신  상  희                                    하는 우리언어와 한글의 우수성을 정작 우리 자신이 잘 모르고 외래어의 사용
                                                        과 표기가 선진화 이고 세련되게 보아 주는 등 민족적 자존감을 낮추는 행태
                                                        에 대하여 우리 스스로 자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김재덕 (갤러리한 관장, 칼럼니스트)
                                                        한글의 맛을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한글 서예가 시작된 것은 세종대왕 28년
                                                        (1446)에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자연스런 지필묵의 사용에서부터 시작 되
        한글은 창제된 지 500년이 되었지만 실제 발전의 역사는 100년이 채 되지 않    었음이다. 한문서예가 고대문자의 생성과 그 역사를 같이 하는 것과는 달리
        는다. 서울대학 이현복 교수는 1986년 5월 영국의 리스대학 음성언어학과를      한글 서예는 불과 550여 년 전에 만들어 졌으며  조형상, 구조상에서 한문 서
        방문하여 제푸리 샘슨(Geoffrey Sampson) 교수로부터 학문적 근거를 기준  예와는 큰 차이가 있다. 한문서예가 사물의 모양을 본따고 의미를 합성한데
        으로 하는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찬사를 받게 된다. 한글이 사람의 신체구조상      반해 한글서예는 天, 地, 人 삼재에 근거를 두고 만든 언어 구조상 상형 문자이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글자를 만들었다는 것과 함께 음성학적 기본 글자에 획        며 동시에 소리 그대로 표현되는 표음문자이다. 조선 시대 이래로 한글 서예
        을 더하는 방식으로 동일계열의 글자를 파생해내는 방법(ㄱ-ㅋ-ㄲ)은 대단히       는 한문 서예에 밀려 그 연구와 발전이 저조했었으며 현대에 들어서도 문화적
        체계적이며 과학적이라며 극찬하였으며 한글을 표음문자이지만 새로운 차원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조선시대에는 아녀자나 글을 모르는 서민
        의 자질문자(feature system)로 분류하였다. 샘슨교수의 이러한 분류방법은   들이 쓰는 글로 생각하여 천시 받았었고 일제의 수난기를 거친 후에도 사대사
        세계최초의 일이며 한글이 세계 유일의 자질문자로서 가장 우수한 문자임을         상에 밀려 한자와 혼용하여 사용 되는 등 겨우 명목만을 이어왔었다.  근대에
        증명해 준 연구 결과이다. 언어 연구학으로 세계 최고인 영국 옥스퍼드 대학       이르러 서양의 문물이 유입되면서 동양의 전통적 문자 표현이 그 가치를 인
        의 언어학 대학에서 세계 모든 문자를 합리성, 과학성, 독창성 등의 언어 기능     정받게 되면서 한글서예를 쓰는데 대한 인식과 가치가 바뀌게 되었다. 여기에
        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겨 보았는데 1위가 자랑스럽게도 한글이 채택 되었다        한글의 예술성과 실용성이 이원화되면서 이른바 한글서예가 전통미술의 한
        고 한다. 한글은 언어의 기능적 방법의 우수성과 함께 어감(語感), 정감(情感),   부분으로 배태(胚胎)된다.
        음감(音感) 등에서 세계 어느 문자와 비교가 안될 만큼 독창적이다. ‘노리끼리
        하다. 노릇노릇하다. 누르스름하다’ 등 외국에서 우리말의 맛을 제대로 번역       곶내 신상희선생은 일생을 한글서예가로써 한글의 미학을 추구해온 서예가
        못하는 것은 우리말의 정서적 문자 기능의 우수한 표현을 타 문자로 표현 할       이다. 곶내선생은 중등학교 재학 중 부터 운필을 시작하여 고교 재학 중엔 각


        38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